KAIST, 불소화 그래핀 개발
마찰력 600% 증가 … 윤활처리 및 역학구동소자 코팅 활용
화학뉴스 2012.07.02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EEWS대학원 박정영 교수가 나노과학기술대학원 김용현 교수와 공동으로 그래핀의 기계적 특성을 규명하고 제어하는데 성공했다고 7월2일 발표했다.
그래핀(Graphene)은 2차원의 탄소 나노구조체로 흑연과 원자 배열은 같지만 두께는 원자 하나 정도에 불과해 전자가 빠르게 이동할 수 있어 전도성이 매우 좋고 물리적 성질도 뛰어나 반도체 신소재로 각광받고 있다. 박정영 교수 연구팀은 그래핀을 플루오르화크세논(XeF2) 가스에 넣고 열을 가해 하나의 원자층으로 이루어진 그래핀을 불소화시켜 개질된 그래핀을 얻어냈다. 연구팀이 초고진공 원자력현미경을 이용해 개질된 그래핀의 마찰력과 접착력 등 역학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불소화된 그래핀은 기존 그래핀에 비해 마찰력은 600% 증가하고 접착력은 70%로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핀 기술은 나노 크기 로봇 구동부의 마모를 막기 위한 윤활처리나 그래핀 기반의 작은 역학구동소자 코팅에 활용할 수 있다. 연구성과는 나노과학 분야의 권위 있는 학술지 나노레터스(Nano Letters) 6월21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화학저널 2012/07/02>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기술/특허] KAIST, 미생물로 화합물 생산한다! | 2025-04-08 | ||
[배터리] KAIST, 온실 감축 SOEC 개발 성공 | 2025-04-02 | ||
[바이오연료] KAIST, 바이오 플래스틱 개발 성공 | 2025-03-26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무기화학/CA] 불소화학, BGF, 무수불산 양산 첫걸음… 일본·중국산이 시장 장악했다! | 2025-05-16 | ||
[산업정책] 중국의 화학산업 혁신 ②, 불소화학에 화학설비까지… 탄소중립 흐름에도 대비한다! | 2025-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