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pply 국내 Polypropylene(PP) 생산능력은 97년 기준 211만5000톤이었으나 98년 한화종합화학이 12만톤 규모로 신규진입하고 현대석유화학도 16만톤을 증설함에 따라 239만5000톤으로 13.2% 증가, 미국 및 일본에 이어 세계 3위의 생산국으로 부상함. Demand 97년기준 PP 국내수요는 92만1000톤으로 96년대비 9% 증가했으나 98년에는 20% 이상의 감소가 예상돼 70만톤 이하에 그칠 것으로 예상됨. Balance 98년에는 2개사의 신증설과 20%를 상회하는 수요감소율로 인해 생산능력 대비 공급과잉률이 350%에 달해 국내 3개 메이커는 감산체제에 돌입해 85%의 가동률을 나타내고 있음. 이에따라 생산량은 97년 수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됨. 표, 그래프 ; | PP 수급현황 | 아시아지역 PP 수급밸런스 | PP 가격추이 | 세계 PP 시장규모(1997) | PP 생산능력 현황(Korea) | PP 생산능력(1998) | <화학저널 1998/10/12>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PP, 수요 실종·관망세 속 하락 악순환 한다! | 2025-10-21 | ||
[바이오폴리머] PLA, 도시락 용기용 PP를 대체한다! | 2025-10-16 | ||
[석유화학] PP, 인디아 공급과잉에 무너졌다! | 2025-10-13 | ||
[석유화학] PP, 연휴 앞두고 거래 잠잠하다! | 2025-09-30 | ||
[에너지정책] 사이언스코, PPA로 경량화에 성공 | 2025-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