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EP, 태양광ㆍ바이오제약ㆍ헬스케어 겹쳐 … FTA 관세 조정 필요성
화학뉴스 2012.08.30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8월30일 <한국-중국 경제관계 20년: 회고와 앞으로의 과제> 보고서에서 “한국과 중국이 육성하고 있는 신산업의 많은 영역이 서로 중복된다”며 대책 마련을 제안했다.정부가 2009년 확정한 신성장동력 종합추진계획과 중국 정부가 2010년 발표한 전략적 신흥산업을 보면 태양광, 풍력, IT융합, 바이오제약, 그린수송시스템 등 녹색기술산업과 첨단융합산업 분야가 겹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헬스케어, 교육, 금융, 콘텐츠, 관광 등 고부가 서비스산업 육성전략은 첨단제조업에 집중된 중국의 신산업전략과 차별화한 부분이다. KIEP는 신성장동력 중 양국이 세계시장에서 모두 비교열위에 있는 에너지절약, 환경보호, 바이오, 신에너지, 신소재 등 영역에서 협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중국 내수시장 점유율을 높이려면 한국계 유통서비스업의 현지 진출, 고급소비재시장 접근, 한국-중국 자유무역협정(FTA)을 통한 관세ㆍ비관세 장벽 낮추기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한편, 위안화 국제화, 한국-중국 FTA 체결 등으로 금융협력 가능성이 커진 만큼 금융 분야에서 양국의 협력모델이 필요하다는 주문도 했다. <저작권자 연합뉴스 - 무단전재ㆍ재배포 금지> <화학저널 2012/08/30>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산업정책] 대산단지, 고부가 신산업 강화한다! | 2023-08-23 | ||
[금속화학/실리콘] 희토류, 한국-중국 협력 정례화 | 2020-01-07 | ||
[환경] CO2, 고부가가치 신산업 창출… | 2019-06-26 | ||
[화학무역] 화학산업, 한국-중국 FTA “역효과” | 2016-12-13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올레핀] IPA, 한국-중국-일본 “수출대결” | 2020-07-24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