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료첨가제, 부적합제품 사용주의보
대기오염에 자동차 수명 단축 가능성 … 도시 외곽에서 불법제품 판매
화학뉴스 2012.09.21
엔진 성능을 높이거나 배출가스를 감축하기 위해 사용하는 자동차 연료첨가제를 잘못 쓰면 오히려 대기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립환경과학원이 최근 3년 동안 부적합 판정을 받은 자동차 연료첨가제 30종을 분석한 결과 부적합제품을 사용하면 질소산화물(NOx) 배출이 평균 17.5% 증가했다. 질소산화물은 대기에서 태양광과 광화학 반응을 일으켜 오존을 생성시키는 물질이다. 일산화탄소(CO)는 9.9% 늘었고, 배출가스 총량은 12.5%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준에 적합한 연료첨가제를 사용하면 일산화탄소가 8.5%, 질소산화물이 1.5%, 배출가스 총량이 5.4% 감소했다. 부적합 판정 사유로는 22종이 배출가스 기준 초과로 나타났으며, 유해 중금속과 황 함량 기준 초과가 각각 2종, 유사석유로 드러난 연료첨가제가 6종이었다. 환경부 관계자는 “부적합제품을 사용하면 촉매 등 후처리 장치에 손상을 주기 때문에 자동차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며 “단속이 어려운 도시 외곽에서 불법제품이 판매될 수 있으니 명절 귀향길에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화학저널 2012/09/21>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첨가제] 바스프, 중국 연료첨가제 공장 가동 | 2022-08-31 | ||
[첨가제] 영국, 독성 연료첨가제 판매 논란 | 2013-01-14 | ||
[제약] 의약품, 부적합제품 상당수 유통 | 2012-10-17 | ||
[첨가제] 연료첨가제, 고유가 타고 “활황” | 2011-02-28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첨가제] 연료첨가제 시장 생동감 돈다! | 2007-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