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남·북극 자원개발 “박차”
러시아와 북극 석유 공동개발 검토 … 남극 과학탐사도 본격화
화학뉴스 2013.02.21
중국이 자원 보고인 남극과 북극에 매장된 석유와 광물자원 개발에 적극 나설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중국은 쇄빙선 쉐룽(雪龍)호가 2012년 8월 북극해를 횡단하는데 성공했고 북극위원회에서 영구 옵서버 자격을 얻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 러시아와 함께 북극 석유자원을 공동 개발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월19일 미국의 소리(VOA) 방송 중국어판에 따르면, 러시아 국영 석유기업 Rosneft는 최근 중국에 북극 대륙붕 석유와 천연가스를 공동 개발하자고 제의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측근으로 알려진 이고리 세친 로스네프티 회장은 최근 중국 방문 기간에 CNPC, CNOOC, Sinopec 등 대형 국영 석유기업들에 대해 북극 대륙붕 러시아 구간 개발에 참여하라고 초청했다. 개발대상 지역은 바렌츠해를 포함한 북극 대륙붕 제12구간이며 중국은 5개의 유전 개발이 가능하다는 제의를 받았다. 5개의 유전에는 170억톤의 석유와 2조입방미터의 천연가스가 매장돼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러시아는 북극해 석유ㆍ가스 개발에 대한 위험도를 줄이고 판로 확보를 위해 중국 자본의 참여를 바라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중국은 장기적인 석유 공급선 확보를 위해 러시아의 제안을 긍정적으로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남극의 광물, 어업자원 등을 개발하기 위해 과학 탐사를 본격화 하고 있다. 중국의 남극에 대한 과학탐사 비용은 2012년 5500만달러(약 600억원)로 10년 전에 비해 2배로 늘었다고 미국 군사전문지 성조지(Stars and Stripes)가 2월18일 보도했다. 남극조약 회원국인 중국은 남극에서 철광석, 운석, 석탄, 해양자원 등의 개발 방안을 놓고 정부와 학계, 그리고 언론계에서 활발한 토론을 벌이며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국은 현재 남극에 Changcheng(長城), Zhongshan(中山), Kunlun(昆侖) 등 3곳의 기지를 운영하고 있으며 2012년 말 쉐룽호를 보내 4번째 남극기지 설치 후보지를 물색했다. <저작권자 연합뉴스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화학저널 2013/02/21>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벤젠, 중국 부진에 다운스트림도… | 2025-10-02 | ||
[무기화학/CA] 차아황산소다, 중국산 반덤핑 판정 | 2025-09-29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정밀화학] 가성소다, 중국발 공급과잉으로 위기감 인디아·동남아 수요를 잡아라! | 2025-10-02 | ||
[석유화학] 중국, 에틸렌 1억톤으로 확대한다! | 2025-10-02 | ||
[바이오화학] 중국, 바이오 생태계 조성 본격화 | 2025-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