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 CAS 특허 7000만번째 등록
T형 칼슘길항제 활용 기대 … 한국·중국 화학 개발능력 급격히 향상
화학뉴스 2013.04.25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발견한 화합물질이 세계 최대의 화학물질 데이터베이스인 미국화학협회의 CAS(Chemical Abstracts Service) Registry에 7000만번째로 등록됐다.
특허청(KIPO)이 2012년 11월 공개한 특허에 기재된 Pyrazolyl-Piperazine계 화합물질 중 하나로 T형 칼슘길항제(CCB: Calcium Channel Blocker)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CCB는 칼슘이온이 칼슘통로를 통해 세포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해함으로써 심근이나 평활근의 수축을 억제하는 약물이며, 칼슘통로는 L형, N형, P형 등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CCB로 지칭되는 약물은 주로 고혈압 치료에 사용되고 있으나 T형 CCB는 간질, 파킨슨병, 치매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의약품 시장은 최근 의약산업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국가차원의 지원이 잇따르고 있다. KIST가 신규 화합물질을 이용해 치료약을 개발하고 있는지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CAS Registry에 등록된 것만으로도 국내 신약 개발능력이 급격하게 향상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CAS는 “아시아 국가들의 화학분야 특허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며 “기념비적인 7000만번째 등록물질이 한국에서 특허를 받은 것은 상당히 주목할만한 성과”라고 강조했다. 2012년 CAS Registry에 등록된 화학물질 가운데 63%가 아시아에서 개발된 것으로 한국, 중국 등의 화학분야 연구개발능력이 급격하게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 2012년 등록된 신규물질 가운데 70% 이상이 특허에서 유래한 것으로 나타났다. CAS는 아시아 각국의 특허를 원동력으로 2011년 5월 6000만번째 물질을 등록한지 불과 18개월만인 2012년 12월 7000만번째에 도달했다고 평가했다. <정세진 기자> <화학저널 2013/04/25>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환경화학] KIST, 아민계 CO2 흡수제 개발 | 2025-06-23 | ||
[바이오연료] KIST, 목재 원료로 SAF 개발 | 2024-11-13 | ||
[금속화학/실리콘] KIST, 금속 회수 섬유소재 개발 | 2024-03-06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EP/컴파운딩] PBT, 자동차 감산 악재 끝··· EV·친환경·CASE 뜬다! | 2024-05-03 | ||
[전자소재] 필러, CASE‧6G 트렌드 따라간다! | 2024-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