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필렌, 공급과잉 장기화된다!
주요 다운스트림 수요 침체로 … 크래커 가동률 감축 불가피
화학뉴스 2013.05.28
아시아 프로필렌(Propylene) 시장은 공급과잉이 장기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을 중심으로 주요 유도제품 수요가 침체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 경제산업성에 따르면, 아시아 프로필렌 유도제품 수요는 연평균 5% 수준으로 안정적인 신장세를 계속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PP(Polypropylene), AN(Acrylonitrile), 페놀(Phenol), 아크릴산(Acrylic Acid) 등 주요 유도제품 수요가 감소하고 있다. 여기에 원유 및 나프타(Naphtha) 가격이 약세를 나타내고 있어 시장침체를 가속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아시아 아크릴산 가격은 톤당 1300달러 수준으로 2013년 4월 100달러 정도 하락했다. 특히, 일본은 프로필렌 공급과잉이 스팀 크래커 가동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일본 프로필렌 생산기업들은 수출을 확대함으로써 공급과잉에 대응했으나 수출이 한계에 이르러 가동률을 대폭 감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은 2012년 9월 Nippon Shokubai의 Himeji 소재 아크릴산 26만톤 플랜트에서 폭발사고가 발생해 가동을 중단함에 따라 프로필렌 수요가 30만톤 이상 급감함으로써 공급과잉이 심화되고 있다. 그러나 Nippon Shokubai가 가동을 재개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 프로필렌 수요가 확대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스팀 크래커의 정기보수를 시행하고 있는 Cosmo Oil과 JX에너지(JX Nippon Oil & Energy)가 6-7월 이후 풀가동할 예정이어서 Nippon Shokubai의 가동 재개에 따른 수요 증가효과를 상쇄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아시아 수요가 본격 회복되지 않는 한 공급과잉이 계속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화학저널 2013/05/28>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국제유가] 국제유가, 공급과잉 우려에 “하락” | 2025-10-01 | ||
[석유화학] 프로필렌, 연휴 앞두고 약세 전환… | 2025-10-01 | ||
[석유화학] LLDPE, 공급과잉‧환율 부담에… | 2025-09-29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정밀화학] 가성소다, 중국발 공급과잉으로 위기감 인디아·동남아 수요를 잡아라! | 2025-10-02 | ||
[산업정책] 유럽 화학산업 ①, 에너지 위기에 공급과잉 생존전략 수립 서두른다! | 2025-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