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 그리스 시장을 개척하라!
KOTRA, 한국제품 수입 증가추세 … 가격․품질에 만족
화학뉴스 2013.06.19
그리스는 PE(Polyethylene) 시장규모가 계속 커지고 있는 가운데 한국산 PE 수입을 매년 확대하고 있다.
코트라(KOTRA) 아테네 무역관은 <그리스, 한국산 PE 없어서 못팔아> 보고서에서 그리스는 2012년 PE 총수입액이 4억5000만달러로 전년대비 14.6% 감소했으나 한국산 PE 수입은 매년 늘어나고 있다고 발표했다. ![]() 또 2012년 기준 국내기업들의 그리스에 대한 PE 수출은 총 1370만달러로 전체 수출국 중 9번째이지만 스페인을 제외한 나머지 상위 10대 수출국가의 수출량이 모두 감소한 것과 비교해 한국산 PE는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트라에 따르면, 그리스 바이어인 Orbit Polymer는 PE, PP(Polypropylene), PS(Polystyrene) 등 합성수지와 EP(Engineering Plastic) 등을 주로 수입하고 있으며 한화케미칼, LG화학, 효성, 한국엔지니어링플라스틱 등과 거래경험이 있고 한국산 관련제품의 품질에 만족하고 있다고 밝혔다. Rigas Plastics SA는 플래스틱 원료 수입기업으로 현재 한트라, Khan Polyemers 등 국내기업들이 주요 수요기업인 것으로 알려졌다. 코트라 관계자는 “바이어 대부분 한국산 PE 가격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하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파트너십 구축을 희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리스에서는 PE 80%가 음식 포장용 필름에 사용되고 있다. <우연서 기자> 표, 그래프: <그리스의 PE 수입동향> <화학저널 2013/06/19>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국제유가] 국제유가, OPEC+ 증산 전망 “하락” | 2025-10-02 | ||
[석유화학] PET, 원료 약세 속 관망세 지속… | 2025-09-30 | ||
[석유화학] LLDPE, 공급과잉‧환율 부담에… | 2025-09-29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EP/컴파운딩] TPE, 일본, 고부가가치화 공세 강화 크레이튼, 순환경제로 대응한다! | 2025-10-02 | ||
[석유화학] PE, 유럽이 미국산 관세 철폐했다! | 2025-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