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2.8% 의무감축 … 석유화학 5000만CO2톤·정유 2900만CO2톤
화학뉴스 2013.10.23
환경부는 산업통상자원부·국토교통부·농림축산식품부 등과 함께 560개 관리기업의 2014년 온실가스 배출 허용량을 10월22일 확정‧발표했다.이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 관리대상 560개기업은 2014년 온실가스 예상 배출량의 2.8%를 의무적으로 줄여야 한다. 2014년에는 연간 8만7500CO2톤 이상의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기업이 대상으로 정부는 관리대상 기업의 2014년 예상 배출량을 6억600만CO2톤으로 추산하고 이 가운데 2.8%인 1700만CO2톤을 줄인 5억8900만CO2톤 배출을 목표로 잡았다. 2014년 배출 목표치는 2012년 5억7200만CO2톤에 비해 2.97% 많은 수준이다. 환경부 온실가스관리TF팀 김지연 과장은 “관리기업 수가 2012년 458곳, 2013년 480곳에서 2014년 560곳으로 늘어나 배출 허용량도 늘었다”고 설명했다. 부문별 배출 허용량은 산업 3억547만9000CO2톤, 발전 2억6224만2000CO2톤, 폐기물 833만3000CO2톤, 건물 488만7000CO2톤, 교통 463만5000CO2톤, 식료품 306만9000CO2톤이다. 업종별로는 발전·에너지가 2억6200만CO2톤으로 가장 많고, 철강 1억2100만CO2톤, 석유화학 5000만CO2톤, 시멘트 4000만CO2톤, 정유 2900만CO2톤으로 뒤를 이었다. 업종별 온실가스 감축률 목표는 폐기물이 9.19%로 가장 높게 설정됐고, 건물 8.34%, 통신 7.85%, 디스플레이 6.08% 등이 뒤를 이었다. 환경부는 2014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면 800MW급 화력발전소 3기가 발생시키는 온실가스를 줄이는 것과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 관계자는 “목표관리제와 2015년부터 시행되는 배출권 거래제를 운영해 <2020년 예상배출량 대비 30% 감축>이라는 국가 중기 감축 목표를 달성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화학저널 2013/10/23>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석유화학, 중국발 공급과잉 장기화 | 2025-08-27 | ||
[석유화학] 석유화학, 구조조정‧샤힌 “이중고” | 2025-08-26 | ||
[석유화학] 중국, 초대형 석유화학 기지 완공 | 2025-08-26 | ||
[화학경영] SK지오센트릭, 석유화학 매각 검토 | 2025-08-26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석유화학, 원료 순환 본격화한다! | 2025-08-29 |
수탁사 | 수탁 업무 및 목적 | 보유 및 이용기간 |
---|---|---|
미래 이포스트 | 상품 배송 | 서비스 목적 달성시 또는 관계법령에 따른 보존기한까지 |
LG U+ | 구독 신청에 필요한 신용카드, 현금결제 등의 결제 대행 | |
홈페이지코리아 | 전산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수집하는 개인정보 항목 |
성명, 회사명, 부서, 직위,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팩스, 이메일, 홈페이지주소 자동수집항목 : 서비스 이용기록, 접속 로그, 쿠키, 접속 IP 정보 |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 |
켐로커스는 수집한 개인정보를 다음의 목적을 위해 활용합니다. (1) 성명, 회사명 - 회원제 서비스 이용에 따른 회원식별, 불량 회원의 부정 이용 방지를 위함 (2) 부서명/직위 :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 및 마케팅에 활용 (3) 이메일, 홈페이지 주소, 팩스, 전화번호, 휴대폰번호 - 서비스 이용 후 계약이행에 대한 내용 제공, 결제 진행사항 통보, 영수증 및 청구서 송부, 불만처리 등을 위함 |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목적이 달성된 후 지체없이 파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