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탈레이트, 아동용품서 대량 검출
기술표준원, 1278개 중 18개에서 검출 … SFIT는 최고 227배 초과
화학뉴스 2013.12.20
어린이가 사용하는 의류와 완구에서 건강에 치명적인 중금속과 발암물질이 다량 검출됐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공산품 1278개의 안전성을 조사한 결과 아동용 섬유 등 18개 제품에서 유해물질이 사용돼 리콜을 명령했다고 12월19일 발표했다. 리콜 조치된 제품은 아동용 의류 8개, 완구 6개, 전기 용접기 2개, 직류전원장치·유아용캐리어 1개씩이다. 유명 브랜드인 베네통 아동의류에서는 발암성 물질로 분류된 염료가 사용됐고, 아놀드파마 주니어에서는 중금속 물질인 니켈이 기준치의 2.6-3.4배가 초과 검출됐다. SFIT에서는 중금속 납과 카드뮴이 기준치 1.7-6배, 프탈레이트(Phthalate) 가소제는 기준치의 227배가 검출됐다.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내분비계 장애물질로 다량 노출될 경우 간·신장 등 인체기관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힐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외에도 트윈키즈, 톰키드, BLUECP, 프렌치캣, JCB 등에서도 납·니켈·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등 유해물질 함유량이 기준치를 크게 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완구는 윈토이가 만든 또봇에어펀치백과 중국 조앤의 팀버게임에서 납이 기준치의 124배, 우전토이가 제작한 큐플러스블럭에서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기준치의 157배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끄레델의 아기띠에서도 기준치의 116배에 달하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함유된 것으로 조사됐다. <화학저널 2013/12/20>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첨가제] 프탈레이트, 미국 안정성 평가 차질 | 2023-10-12 | ||
[에너지정책] DOTP, 프탈레이트계를 역전했다! | 2022-04-01 | ||
[환경화학] 한화, 프탈레이트 대체 본격화 | 2018-02-12 | ||
[첨가제] 프탈레이트, 유럽 수출금지 “걱정” | 2017-04-18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첨가제] 가소제, 프탈레이트계 규제 강화 중국산 영향력 경계하라! | 2023-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