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식물 베이스 PPA 생산 본격화
Unitika, 내열성‧성형가공성 양립제품 개발 … 전자‧자동차용으로 공급
화학뉴스 2014.03.20
Unitika가 고내열성 식물 베이스 슈퍼 EP(Engineering Plastics)
석유 베이스 원료를 사용하는 PPA는 PA(Polyamide) 6T와 9T로 크게 분류되고 있다. 6T는 융점이 높지만 결정성이 낮아 성형가공성이 떨어지는 반면 9T는 결정성이 높아 성형가공성이 뛰어나나 융점이 낮은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PPA는 내열성과 성형가공성을 높은 수준으로 양립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나 Unitika는 식물을 원료로 사용한 독자의 호모폴리머를 이용해 구조를 비교적 단순화함으로써 내열성과 성형가공성을 양립하는데 성공했다. 또 Unitika가 도입한 프로세스는 중합할 때 겔 생성을 억제하는 독자기술로 고품질 생산이 가능하고 생산효율이 높아 에너지 소비량 및 설비투자도 감축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일본 Uji 소재 100톤 플랜트를 가동하고 있는 가운데 2014년 여름 가동을 목표로 400톤을 증설하고 2015년 이후 5000톤 수준의 상업생산체제를 구축할 방침이다. Unitika는 본격 사업화를 위해 LED(Light Emitting Diode) 리플렉터를 비롯한 전기‧전자 분야, 연료튜브 및 라디에이터용 온도조절장치 등 자동차 관련 분야를 중심으로 용도 개척을 가속화하고 있다. 5000톤 생산체제를 구축한 이후에는 용도별로 컴파운딩해 공급할 방침이며 섬유, 필름으로 가공해 공급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화학저널 2014/03/20>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퍼스널케어] 로가, 일본에 식물성 콜라겐 수출 | 2025-10-14 | ||
[에너지정책] 가스공사, 일본과 액화수소 동맹 | 2025-09-30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EP/컴파운딩] TPE, 일본, 고부가가치화 공세 강화 크레이튼, 순환경제로 대응한다! | 2025-10-02 | ||
[합성섬유] PTA, 생산능력 감축은 생존문제 일본은 아예 생산을 접는다! | 2025-10-02 | ||
[석유화학] 석유화학 재편 ② - 일본, 통폐합에 차별화 강화 스페셜티도 안심 못한다! | 2025-09-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