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전지, 고효율‧저비용 기술 개발
성균관대 석상일 교수팀, 페로브스카이트형 활용 …효율 17.9%에 달해
화학뉴스 2014.07.11
국내 연구진이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실리콘(Silicon) 태양전지에 필적하는 고효율 태양전지를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성균관대학교 에너지과학과 석상일 교수 연구팀이 고효율 무·유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태양전지 제조기술을 개발했다고 7월11일 발표했다. 현재 90% 이상 사용되고 있는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는 효율이 20% 수준 높지만 고도의 기술과 다량의 에너지가 필요해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고 유기 및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효율이 낮아 대규모 상용화가 어려운 상태이다. 이에 따라 부도체와 반도체 성질과 초전도 현상을 보유한 무·유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에 대한 연구가 본격화되고 있다. 연구팀은 2013년 무·유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플랫폼 기술을 개발한데 이어 저렴한 무·유기물로 기판을 구성한 뒤 균일하고 치밀한 페로브스카이트 박막을 기판에 입혀 17.9% 수준의 고효율 태양전지를 개발에 성공했다. 연구결과는 태양전지의 효율을 공인하는 미국 재생에너지연구소(NREL)의 태양에너지 효율기록지에 등재돼 우수성이 검증됐다. 석상일 교수는 “고효율 저비용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기존 태양전지 제조코스트의 1/3 수준으로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양전지의 효율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구결과는 세계적 학술지인 Nature Materials의 7월6일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화학저널 2014/07/11>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신재생에너지] 태양전지, 탠덤형 곧 상용화한다! | 2025-06-25 | ||
[신재생에너지] 태양전지, 2026년 리사이클 상용화 | 2025-05-09 | ||
[신재생에너지] 인디아, 중국산 태양전지 배제 | 2025-04-25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신재생에너지] 태양전지, 플렉서블 실증 착수 | 2025-09-12 | ||
[배터리] 차세대 배터리, 고용량화 니즈 대응 가속화 전고체·태양전지 부상한다! | 2025-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