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기업, 인디아 시장 진출 “호기”
신정부, 제조업 진흥에 인프라 개발 집중 … 관세인하․세금혜택도
화학뉴스 2014.07.15
인디아 새 정부가 사회기반시설 확충과 제조업 육성을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국내기업의 현지 진출을 확대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코트라(KOTRA)는 7월15일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이끄는 인디아 새 정부의 첫 예산안을 분석한 보고서에서 인디아의 제조업 진흥 정책 및 낙후된 인프라 개발계획은 국내 관련기업에게 호재로 작용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모디 정부는 제조업을 육성하기 위해 TV 패널, 신재생에너지 관련장비의 관세를 내리고 제조시설 확충을 위한 세제혜택을 확대하기로 결정했다. 인프라 구축을 위해 100억달러 상당의 아메다바드-뭄바이 고속철도 건설을 추진하고 지방도로 건설 등에 63억달러를 투자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방위산업과 보험업에 대한 외국인 투자한도를 26%에서 49%로 확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디아는 세계 최대 무기 수입국의 하나로 2014년 국방 예산이 380억달러에 달하고 있다. 코트라는 모디 정부의 경제발전 사업에 국내기업이 참여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9월 인디아 상공부 인사와 주요 기업인들이 참석하는 한국·인디아 비즈니스협력포럼 개최를 추진하고 있다. 코트라 최동석 뉴델리 무역관장은 “TV 패널, 신재생에너지 관련장비 및 부품들의 관세 인하 등 인디아 생산에 유리하게 관세체제가 개편되고 있다”며 “통합물품소비세(GST) 도입으로 조세행정 시스템이 안정화되면 인디아가 제조업 생산기지로 각광받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화학저널 2014/07/15>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PS, 인디아 가격만 떨어졌다! | 2025-10-14 | ||
[에너지정책] ABS, 인디아 약세 보이며 “하락” | 2025-10-14 | ||
[점/접착제] 접착제, 인디아 자동차 시장 조준 | 2025-10-13 | ||
[석유화학] PP, 인디아 공급과잉에 무너졌다! | 2025-10-13 | ||
[석유화학] LLDPE, 인디아 4주 연속 하락했다 | 2025-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