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폴리머 수입은 전반적으로 감소세를 나타냈으며 한국 수출은 HDPE, PP 등 일부 품목에서 수출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LDPE(Low-Density Polyethylene) 수입은 3월 17만2386톤에서 4월 16만2924톤, 5월 16만2003톤, 6월 15만264톤으로 4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였으며 LLDPE(Linear Low-Density PE)도 3월 23만6746톤, 4월 21만3690톤, 5월 19만1076톤, 6월 17만8029톤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HDPE(High-Density PE)는 4월 37만6073톤에서 5월 42만5702톤으로 4만9629톤 급증했으나 6월 41만8373톤으로 다시 7329톤 하락했다.
PP(Polypropylene)는 Homo가 5월 28만3916톤에서 28만6668톤으로 2752톤 증가했고, Copolymer는 10만4096톤에서 9만6641톤으로 7455톤 감소했다.
PVC(Polyvinyl Chloride) 수입은 4월 4만9450톤에서 5월 5만2258톤으로 2808톤 증가했으나 6월 4만4399톤으로 다시 7859톤 감소했다.
반면, 한국의 중국 수출은 일부 품목에서 증가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LDPE는 5월 1만4666톤에서 6월 1만4405톤으로 감소했고, LLDPE도 2만375톤에서 2만9톤으로 소폭 줄었다.
HDPE 수출은 중국 수입량이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5만858톤에서 5만1505톤으로 647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PP는 Homo가 2월 3만5615톤에서 3월 3만6260톤, 4월 4만6626톤, 5월 4만9047톤, 6월 5만3334톤으로 5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으며 Copolymer는 2월 4만3110톤에서 3월 3만9947톤, 4월 3만6262톤, 5월 3만5058톤으로 감소세를 지속했으나 6월에는 2만5245톤으로 소폭 증가했다.
한편, 중국은 PVC 수출량이 5월 11만8883톤에 달해 1년2개월만에 10만톤을 넘어선데 이어 6월에는 14만2129톤에 달해 최대치를 기록했다. <김원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