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화탄산가스는 식음료용 수요 증가와 함께 원료 탄산가스의 안정적인 공급이 지속되면서 시장 회복이 주목되고 있다.
탄산가스는 기체상 물질로 공기 중에 약 0.03% 존재하고 천연가스나 광천수에도 함유돼 있다. 공업적으로는 석회석을 강열하거나 석탄 등을 태운 가스를 통해 생산하며 무색, 무취의 불활성 기체로 조연성이나 가연성이 없다. 액화탄산가스는 기체 상태의 탄산가스를 압축 냉각시켜 생산하며 식품음료용으로는 맥주 및 탄산음료의 식품첨가물로 활용되고, 공업용으로는 불활성 가스로서 용접용, 소화용, 탱크 퍼지가스(Purge Gas)용, 급속냉각제, 산화방지제, 가연성 위험물 저장탱크의 실링(Sealing)용, 이산화탄소 가스 레이저(Gas Laser) 충진용 등으로도 사용된다. 농업용으로는 식물성장촉진제, 채소 및 과일의 저온저장용, 의약품용으로는 국소마취제, 살충제, 소독가스, 인큐베이터에 쓰이고 있다. <액화탄산가스 제조공정><국내 탄산수 시장동향> <화학저널 2014년 11월 3일>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농화학] 선도화학, 액화탄산가스 수출로… | 2015-09-15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농화학] 액화탄산가스, 조선산업 침체에 발전소까지… | 2015-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