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 한-중 FTA 유명무실하다!
HDPE‧LDPE‧LLDPE 관세 6% 확정 … 최대 0.5% 인하 불과
화학뉴스 2014.11.18
중국과의 FTA(자유무역협정)를 11월10일 본격 타결함에 따라 합성수지 중국수출이 수혜를 입을 것으로 기대됐으나 PP(Polypropylene)가 양허대상에서 제외된데 이어 PE(Polyethylene)도 세율이 6%로 확정되면서 실익이 거의 없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TV 및 경제지들은 합성수지가 수입관세 3-6.5%를 부과받았으나 면세돼 최대 실익을 누릴 것으로 예상했으나 실제로 합성수지에서 가장 큰 수출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PP와 PE는 혜택이 거의 없어 석유화학 부문에서 한-중 FTA에 대한 기대감이 급격히 반감되고 있다. 합성수지는 중국이 최대 수출대상국으로 HDPE(High-Density PE)가 전체 수출량의 50%를 중국에 수출하고 있고, LDPE(Low-Density PE)는 중국 의존도가 33%, LLDPE(Linear Low-Density PE)도 40%에 육박하고 있다. 현재 중국의 수입관세는 HDPE가 잠정세율 3%, LDPE 6.5%, LLDPE 3%로 그나마 LDPE가 소폭의 수혜를 누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국내 석유화학기업들은 석유화학 시장 악화로 수익성이 급락하자 한-중 FTA 수혜를 기대했으나 실제로 뚜껑을 열어보니 영향이 거의 전무해 FTA가 유명무실하다는 평가가 잇따르고 있다. 한편, 정부는 석유화학제품의 구체적인 관세율을 연내에 정리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민지 기자> <화학저널 2014/11/18>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석유화학] LLDPE, 인디아 4주 연속 하락했다 | 2025-10-13 | ||
[석유화학] LDPE, 인디아 부진에 하락세 지속 | 2025-10-13 | ||
[국제유가] 국제유가, OPEC+ 증산 전망 “하락” | 2025-10-02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EP/컴파운딩] TPE, 일본, 고부가가치화 공세 강화 크레이튼, 순환경제로 대응한다! | 2025-10-02 | ||
[석유화학] PE, 유럽이 미국산 관세 철폐했다! | 2025-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