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틸렌, 가동률 급락 불가피하다!
				
				
			| 미국‧카타르‧러시아 생산능력 확대로 … 2018년 약 86%로 떨어져 
			화학뉴스 2015.01.05		 
			에틸렌(Ethylene) 크래커의 가동률이 2017년 이후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중국의 신증설은 잠잠해지지만 주로 북미, 카타르, 러시아가 생산능력을 확대하기 때문으로 가동률은 2013년 87.0%에서 2016년 88.8%로 상승한 후 2018년 85.7%로 하락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일본 경제산업성에 따르면, 2013년 세계 에틸렌 생산량은 1억3404만톤, 생산능력은 1억5410만톤으로 나타났다.  생산량은 2014년과 2015년 각각 800만톤 가량 증가한 후 400만톤 정도 증가하지만 생산능력은 2017년과 2018년 각각 800만톤 확대됨에 따라 가동률 하락이 불가피해지고 있다. 2017년에는 미국에서 ChevronPhillips가 150만톤, ExxonMobil이 150만톤, Formosa Plastic이 150만톤, 러시아에서 FEPCO 프로젝트의 122만톤 크래커가 신규 가동하고 2018년에는 미국에서 Sasol이 150만톤, Occidental Chemical과 Mexichem의 합작 55만톤, 카타르에서 250만톤 크래커가 추가된다. 이에 따라 미국은 에틸렌 생산능력이 2013년 2781만톤에서 2018년 3715만톤으로 1000만톤 수준 확대되는 반면, 생산량은 2698만톤에서 3000만톤으로 소폭 증가에 머물러 가동률이 97.0%에서 100.0%로 상승한 후 2018년 80.8%로 크게 하락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표,그래프: < 세계 에틸렌 크래커 가동률 전망 > <화학저널 2015/01/05> | 
한줄의견
		
		관련뉴스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석유화학] 에틸렌, 국제유가 강세 속 시장 식어간다! | 2025-10-28 | ||
| [석유화학] 에틸렌, 에탄 투입으로 경쟁력 강화한다! | 2025-10-27 | ||
| [석유화학] 에틸렌, 가동률 80% 회복에도… | 2025-10-20 | ||
| [석유화학] 에틸렌, 부진 이어지며 800달러도 무너졌다! | 2025-10-15 |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 [석유화학] 중국, 에틸렌 1억톤으로 확대한다! | 2025-10-0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