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tika, 접착소재 용도개척 박차
태양전지 봉지재 접착으로 채용 확대 … LiB는 수계 바인더 적용
화학뉴스 2015.01.13
Unitika는 변성 폴리올레핀(Polyolefin) 수성 분산체(에멀젼) 브랜드
난접착소재인 폴리올레핀(Polyolefin)과의 밸런스가 좋은 것이 특징으로 태양전지용은 봉지재와의 뛰어난 접착성이 높은 평가를 받았고 LiB도 바인더소재로 채용을 앞두고 있다. 해외에서는 연포장용을 중심으로 공급을 확대하고 2017년까지 진행하는 중기경영계획을 통해 동남아시아에 생산 거점을 건설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나일론(Nylone), 종이, 금속 등의 밀착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고, 올레핀(Olefin)계 에멀젼으로는 유일하게 미세 분산구조를 가지고 있어 조막성도 뛰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EVA(Ethylene Vinyl Acetate)와의 접착성이 뛰어난 점에 착안해 태양전지의 봉지재 접착용으로 채용이 확대되고 있으며, LiB도 수계 바인더에 첨가제로 사용해 전극 내구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정․부극재 모두 사용할 수 있어 본격적인 채용이 기대되고 있다. 식품용 중심의 연포장용 필름 분야를 필두로 해외 판매도 적극화하고 있다. 라미네이트 공정의 밀착성을 향상하는 앵커코트(Anchor Coat)제로 동남아시아의 필름컨버터 관련기업을 중심으로 제안하고 있으며 채용이 본격화되면 현지 생산거점을 건설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기 경영계획에서도 바이오매스 베이스 내열 PA(Polyamide) 브랜드 수지사업본부는 2014년 PI(Polyimide) 바니스 브랜드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고객 대응능력을 향상해 사업분야를 확대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화학저널 2015/01/13>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점/접착제] 접착소재, 차세대 통신에 대응하라! | 2024-10-17 | ||
[기술/특허] 접착소재, 홍합의 접착원리로 개발 | 2013-07-25 | ||
[계면활성제] 일본, 고내열성 접착소재 개발 | 2012-10-25 | ||
[플래스틱] Unitika, 동남아 나일론필름 증설 | 2010-12-15 | ||
[무기화학/CA] Unitika, 자동차 탈취제 공급 강화 | 2008-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