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용품, 환경호르몬 검출 조사
2018년까지 어린이집 점검 … 프탈레이트․BPA․중금속 대상
화학뉴스 2015.03.31
서울시가 어린이집 시설, 용품에 대한 안전전검을 강화한다.
서울시는 2018년까지 어린이집 시설, 용품에서 환경호르몬 프탈레이트(Phthalate), BPA(Bisphenol-A), 중금속류 3종이 기준을 초과해 검출되는지 점검한다고 3월30일 발표했다. 점검 대상은 2009년 3월 이후 설립된 어린이집과 어린이 놀이시설 1만5600곳으로 2015년은 2540곳을 대상으로 실시한다. 2009년 3월 이전에 설치된 어린이집 시설은 2018년까지 규모․노후도를 고려해 1500곳에 환경컨설팅을 진행하고 노후 시설 1400곳은 친환경시설로 개선을 지원할 예정이다. 마감재, 플래스틱제품의 마모․노후화로 방출되는 프탈레이트는 피부를 통해 흡수되거나 먼지와 함께 호흡기로 흡수된다. BPA는 음료수 캔, 통조림 내부 녹 방지용 코팅제로 사용된 후 녹아 나와 음식물을 통해 섭취될 수 있다. 해당 물질은 인체에 2-3일 체류 후 소변, 땀으로 배출되지만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몸에 잔류해 생식기능 이상과 발달장애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금속류는 도료, 시트지 등 시설 마감재와 매트, 어린이 장신구, 장난감 등 접촉을 통해 피부나 소화기로 흡수된다. 체내에 흡수되면 배출이 잘 되지 않고 소화기 장애, 신경 등 뇌기능 장애를 유발한다. <화학저널 2015/03/31>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아로마틱] BPA, 환경호르몬 오명 벗을까? | 2018-06-21 | ||
[산업정책] 중국, 환경호르몬 실태조사 본격화 | 2015-10-30 | ||
[플래스틱] SK케미칼, 유아용품 시장 적극 공략 | 2014-06-11 | ||
[환경] 유아용품 화학물질 규제 강화된다! | 2013-09-16 | ||
[환경] 환경부, 유아용품 화학물질 규제 확대 | 2012-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