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프로, 중국 자급에 러시아까지…
러시아산, 2015년 유입량 10만톤대 가능성 … 중국도 1-9월 증가세
화학뉴스 2015.11.23
동아시아 CPL(Caprolactam) 수입시장에서 러시아산 시장점유율이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다.
타이완은 러시아산 수입이 한때 4만톤 이하까지 감소했으나 2015년 들어 8년 만에 10만톤대 수준을 회복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중국은 자급률이 급속도로 향상됨에 따라 수입량이 예전과 같이 많지 않으나 2015년 1-9월 수입량이 2014년과 비슷한 수준인 44만3000톤에 달했으며, 타이완은 내수가 70만톤으로 수입 의존도가 높아 2014년 수입량이 44만3000톤으로 2013년과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다. 동아시아에서는 최근 러시아산 수입이 급속도 확대됨에 따라 수입량이 2012년 3만8000톤으로 바닥을 찍은 후 2013년 6만7000톤, 2014년 8만6000톤, 2014년 8만6000톤으로 상승세를 나타내 현재는 미국산 점유율을 상회하고 있다. 러시아산은 8-9년 전 동아시아 수출이 10만톤을 상회한 후 감소세를 지속했으나 2015년 1-8월 수출이 7만톤에 달해 수출이 다시 10만톤대를 회복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동남아시아는 1-8월 수입량이 30만6000톤으로 러시아산이 20%를 상회한다. 이에 따라 국내 유일의 CPL 생산기업인 카프로가 계획하고 있는 2016년 흑자 목표가 달성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러시아가 수출을 확대함으로써 동북아시아 시장의 공급과잉이 확대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중국은 나일론 생산능력 확대로 CPL 수요가 늘어 2012년 러시아산 수입이 17만톤에 달하며 최고치를 기록한 후 자급률 향상으로 2014년 수입량이 6만5000톤까지 축소했으며 2015년 1-9월 6만3000톤 수준으로 다소 회복세를 나타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하나 기자> <화학저널 2015/11/23> |
한줄의견
관련뉴스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헬스케어] 헬스케어, 중국 불확실성 커진다! | 2025-10-14 | ||
[국제유가] 국제유가, 미국-중국 무역갈등 완화 “상승” | 2025-10-14 | ||
[배터리] 음극재, 중국산 의존도 98% 달한다! | 2025-10-14 | ||
[국제유가] 국제유가, 미국-중국 갈등 “폭락” | 2025-10-13 |
제목 | 날짜 | 첨부 | 스크랩 |
---|---|---|---|
[정밀화학] 가성소다, 중국발 공급과잉으로 위기감 인디아·동남아 수요를 잡아라! | 2025-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