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디아 Reliance가 석유정제‧석유화학 증설‧보수 프로젝트를 2017년 초 완료한다.
당초 예정보다 1년 정도 늦어졌으나 석유 정제과정에서 부생된 오프가스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합성고무 등 다양한 유도제품을 통해 사업 경쟁력을 향상시킬 계획이다.
Reliance는 일본기업 20사 이상으로부터 플랜트 기기를 구입했으며 일본의 금융기관이 다수 융자를 실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Reliance는 Gujarat의 Jamnagar에 세계 최대의 정유공장 2개를 가동하고 있다.
정유공장 한개는 인디아 내수용으로 일일 66만배럴 생산하며 나머지 한 개는 수출용으로 58만배럴을 생산하고 있다.
프로젝트의 핵심은 2개의 정유공장에서 잔사물로 배출되는 석유 코크스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오프가스에는 연산 110만톤의 에탄(Ethane)이 포함돼 있으며 일부는 오프가스 자체를 에틸렌(Ethylene)으로 회수하는 프로세스도 들어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Reliance는 셰일(Shale) 기반의 미국산 에탄을 수입해 석유 원료로 활용하는 프로젝트도 추진하며 석유화학 원료의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다.
Gujarat의 Dahej에서 에탄 저장탱크 건설 및 기존 크래커에 파이프라인 부설공사 등을 실시하고 있으며 2017년부터 수입을 시작할 예정이다.
Reliance는 PTA(Purified Terephthalic Acid)를 생산하기 위한 주요 설비인 STD(Steam Tube Dryer)를 글로벌 메이저 Tsukishima Kikai로부터 공급받는다.
국제협력은행(JBIC) 3억3000만달러를 비롯해 Mitsubishi Tokyo UFJ, Gunma Bank, Chiba Bank, Hachijuni Bank 등으로부터 융자를 받아 총 융자금액은 5억5000만달러에 달한다.
JSR로부터 기술을 제공받아 PBR(Polybutadiene Rubber) 4만톤 증설을 추진하고 있으며 니켈‧네오듐 촉매 스윙그 플랜트를 구축할 계획이다. (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