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프로(대표 박승언)는 아시아 CPL(Caprolactam) 시황이 상승세를 지속하며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카프로는 CPL 생산능력이 27만톤에 달하며 채산성 악화로 2013년 10월 No.1 라인 6만톤, 2014년 6월 No.2 6만톤을 가동중단하며 No.3 15만톤만을 가동해 왔다.
2016년 4월 중국이 2년만에 수입을 재개했을 뿐만 아니라 아시아 시황 고공행진, 미국산 유입 감소 등의 영향으로 수익성 개선이 기대되고 있다.
중국은 2016년 1-7월 CPL 포함 PA(Polyamide) 중간원료 수요가 142만8000톤으로 전년동기대비 2.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시아 CPL 가격은 5월 바닥을 친 후 계속 상승하고 있으며 수급이 타이트한 가운데 벤젠(Benzene)과의 스프레드가 확대되고 잇다.
5월 말 중국 CPL 관련기업들이 모여 감산을 협의했을 뿐만 아니라 신증설 프로젝트도 다수 지연되고 있어 중국 생산능력은 지속적으로 축소될 것으로 파악된다.
중국은 2016년 Henan Shenma 10만톤, Tianchen Yaolong 4만톤, Shanxi Lubao 10만톤, Shanxi Lanhua 10만톤, Shandong Luxi 20만톤, Shanxi Yangquan Coal 10만톤 프로젝트가 예정돼 있었으나 실제 완공된 것은 Henan Shenma 10만톤 뿐이었다.
Shanxi 소재 프로젝트들은 모두 가동을 연기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미국산 유입량 감소 역시 아시아 시황 상승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국은 CPL 생산능력이 Honeywell 37만톤, BASF 32만톤, Fibrant 25만톤 등 98만5000톤 수준이며 타이완, 중국 등 아시아에 주로 수출하고 있다.
Fibrant는 미국, 네덜란드에서 CPL 플랜트를 가동하고 있으며 중국 Nanjing에는 Sinopec과의 합작공장을 보유하고 있다.
10월 말 미국공장의 가동을 중단할 예정으로 미국은 생산능력이 25만톤 가량 줄어들면 아시아 수출여력이 축소될 것으로 파악된다. <강윤화 기자>
서재화
2016-10-12 14:29:52
평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