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해 신규 비즈니스 발굴에 앞장선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금융위원회는 바이오헬스, 로봇 등 12대 신산업 비즈니스를 창출할 핵심기술에 투자하기 위해 3000억원 상당의 정책펀드를 조성하기로 결정했다고 1월20일 밝혔다.
12대 신산업은 2016년 12월 신산업 민관협의회가 선정한 것으로 △전기·자율자동차, 스마트·친환경 선박, 사물인터넷(IoT) 가전제품, 로봇, 바이오헬스, 항공·드론, 프리미엄 소비재 등 시스템 산업 △신재생에너지, ESS(Energy Storage System), 원격검침시스템(AMI) 등 에너지 산업 △첨단 신소재, 증강현실 및 가상현실(AR·VR), 차세대 디스플레이, 차세대 반도체 등 소재부품 산업으로 구분된다.
정책펀드는 정부와 금융권의 투자재원을 공동으로 조성하는 대형펀드로 고위험 신산업 분야에 대한 투자 위험을 경감시켜 민간의 적극적인 투자를 유도할 수 있도록 조성할 방침이다.
대상기업 규모 및 산업별 특성에 맞춘 전문성과 효율성이 높은 투자를 위해 500억원 상당의 중소·벤처펀드 2개와 2000억원 사모(PE)펀드 1개로 구분해 조성할 계획이다.
펀드의 주요 투자대상은 최근 정부가 발표한 주요 신산업 분야 해당기업이며 민간이 자발적으로 정책목적의 투자를 발굴하도록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할 예정이다.
기업활력제고특별법(원샷법)을 통한 사업재편 목적의 인수합병(M&A), 외부기술 도입을 위한 기술혁신형 M&A 및 신산업 관련 프로젝트 등 다양한 유형의 투자를 유도하도록 인센티브를 지급할 예정이다.
정부는 2016년 9월부터 원샷법을 통해 한화케미칼, 유니드, 동양물산, 하이스틸, 신성솔라에너지, 현대제철, 동국제강, 리진, 보광, 우신에이펙 등 10곳의 사업재편계획을 승인했으며 12월부터 LG화학을 비롯해 5곳의 계획을 검토하고 있어 정책펀드 적용을 받을 수 있는 대상기업은 최대 15곳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중소·벤처펀드는 운용기업이 기존 신용평가 위주의 대출에 기술평가를 반영해하는 기술신용평가(TCB: Tech Credit Bureau)를 활용해 우수기업을 발굴하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해 기술금융을 확산시킬 예정이다.
산업부는 1월 출자공고, 4월 펀드 운용기업 선정, 4월 이후 민간 출자자 모집 등을 거쳐 2017년 정책펀드 결성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이후 기관별 출자 재원, 추가 출자 방향 등을 고려해 신산업 육성을 위한 추가 펀드 조성에 대해서도 관계 기관과 지속 협의하기로 결정했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