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저귀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세계 기저귀 시장규모는 연평균 8% 이상 성장해 2021년에는 90조원대 상당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인구대국인 중국과 인디아의 기저귀 사용비중이 20-30%에 머물러 있어 앞으로 수요가 폭증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세계적인 인구 노령화에 따른 성인용 기저귀 시장 성장세도 가파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LG화학은 2008년 코오롱으로부터 7만톤 상당의 SAP(Super Absorbent Polymer) 사업을 인수하며 본격적으로 기저귀 시장에 뛰어들었다.
연간 기저귀 약 60억개를 생산할 수 있는 SAP 36만톤 생산설비를 가동하고 있으며 세계 시장점유율은 13%에 달한다.
LG화학은 국가별 기저귀 트렌드에 맞추어 조금씩 다른 SAP를 개발하고 있다.
고온 다습한 중남미 지역은 습기에 쉽게 굳지 않는 사양을 추구하고 중국은 수분 흡수 속도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며 유럽 등 선진국은 최대한 얇게 만들어 옷맵시가 좋아 보이도록 하는 기저귀를 선호하기 때문이다.
효성은 기저귀에 들어가는 스판덱스로 승부를 걸고 있다.
스판덱스 「크레오라」 브랜드로 1위를 달리는 효성은 기저귀용으로 「크레오라 컴포트」를 생산한다.
주로 신체 가운데 다리와 맞닿는 주름에 사용되며 신축성이 좋아 다리를 편하게 감싸면서도 수분이 새지 않도록 잡아준다. 남아·여아용, 사이즈, 앞뒤 구분을 위해 스판덱스에 컬러를 넣는 기술력 부문에서 독자적인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일반 석유수지에 수소를 첨가해 무색·무취·무독성을 부여함으로써 기저귀 등 위생용품용 점착제로 사용할 수 있는 수소 첨가 석유수지(수첨수지)를 생산하고 있다.
여수·대산 공장 등에서 세계 생산능력의 4분의 1 수준에 달하는 총 9만톤 생산설비를 가동하고 있다.
최근 한화케미칼도 1300억원을 투입해 여수 국가산업단지에 수첨수지 5만톤 생산설비를 건설하고 있어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이하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