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TiO2(Titanium Dioxide) 시장은 중국이 황산법 루타일(Rutile)형에 이어 염소법 생산을 확대함에 따라 메이저의 시장장악력이 약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정부는 환경규제를 강화해 황산공법 대신 염소법 위주로 루타일형 TiO2 생산을 독려하고 있으며 소규모 황산법 공장은 강제 폐쇄조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Henan Billions Chemical은 2016년 10월 말 Lomon을 최종 인수함으로써 LomonBillions로 회사명을 확정하고 염소법 10만톤, 황산법 55만톤 체제를 구축했다.
LomonBillions는 2018년 상반기 염소공법 TiO2 20만톤을 증설할 계획이어서 총 생산능력이 30만톤으로 확대됨에 따라 아시아 시장점유율을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미국 및 유럽 공장 인수도 검토하고 있어 생산능력을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
LomonBillions는 2016년 10월 말 국내 페인트 및 건축자재 생산기업 구매담당자들을 초청해 염소법 루타일형 TiO2를 홍보함으로써 시장확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시장 관계자는 “황산법은 계속 수요가 감소하고 있는 추세”라며 “중국이 염소법 생산을 확대하고 있으며 황산법 루타일은 아나타제(Anatase) 채용영역까지 장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TiO2는 아나타제, 황산법 루타일형이 순차적으로 수요가 감소함에 따라 염소법이 대부분 시장을 점령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내 염소법 루타일 TiO2는 Chemours, Cristal, Tronox, Huntsman 등이 국내 수출량의 60% 수준을 차지하고 있으나 LomonBillions가 2018년부터 시장 공세를 강화하면 20-30% 수준으로 크게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염소법 루타일형 TiO2는 글로벌 생산능력이 Chemours 117만톤, Tronox 38만톤, Cristal 62만톤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국내시장에 4만-5만톤을 공급하고 있다.
국내 페인트 생산기업들은 중국산 염소법 루타일형 TiO2를 채용하기 위해 테스트에 돌입했으며 통과하면 2017년부터 본격적으로 중국산으로 대체해 메이저 의존도가 크게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시장 관계자는 “중국산은 황산법에 이어 염소공법까지 품질에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돼 메이저 공급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일부 특수 그레이드는 글로벌 메이저 제품을 대체하기 어려우나 국내수요가 1만톤 미만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메이저들은 공급과잉이 지속되고 있고 중국산 공세가 지속됨에 따라 수익성 개선을 위해 가격담합으로 인상을 시도했으나 최근에는 중국산이 가격을 주도하고 있다.
세계 TiO2 시장은 2015년 생산량이 671만3000톤, 수요는 552만7000톤으로 공급과잉을 지속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메이저들이 가격인상을 주도했다.
Chemours, Tronox, Cristal, Huntsman 등 메이저들은 수차례 가격을 인상해 2016년 초 톤당 2000달러에서 2016년 말 2200-2300달러를 형성하고 있다.
2017년에는 메이저 뿐만 아니라 중국산도 인상을 단행해 7월 3000달러에 육박한 것으로 파악된다.
메이저들은 2300-2500달러가 손익분기점으로 분석하고 있어 인상 시도를 계속할 방침이다.
시장 관계자들은 “원료인 일메나이트(Ilmentie) 생산량이 줄어들고 있어 TiO2의 제조코스트가 높아지고 있다”며 “메이저 뿐만 아니라 중국산들도 가격 인상을 하지 않으면 적자생산이 이어갈 것으로 예상돼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이어 “치킨게임을 통해 글로벌 생산기업들이 일부 정리되면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허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