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과 독일이 미국의 보호무역 강화에 함께 맞서고 있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 리커창 중국 총리가 7월9일 회담을 갖고 규칙에 기반한 무역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합의했다.
양국은 세계무역기구(WTO)의 질서와 다자주의를 존중하기로 뜻을 같이 한 것으로 알려졌다.
메르켈 총리는 “독일은 규칙에 기반한 자유무역체제를 지지한다”며 “불법 관세가 부과되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리커창 총리 역시 “자유무역은 경제성장을 촉진하는 핵심 요인”이라고 강조했다.
양 총리의 회담은 7월 첫째주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340억달러 상당의 중국산 수입제품에 25%에 달하는 관세 부과를 강행한 뒤 3일만에 이루어졌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트럼프 행정부가 독일과 중국을 무역전쟁의 주요 목표로 삼은 뒤 양국이 더욱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게 됐다고 평가했다.
양 총리는 22개 협약에 서명했으며, 바스프(BASF)는 우선 Guangdong에 100억달러(약 11조1410억원)를 투입해 대규모 석유화학 컴플렉스를 건설하기로 했다.
바스프의 석유화학 생산기지 가운데 3번째로 대규모이며 사상 최대 수준의 투자로 파악되고 있다.
2026년 일부 생산설비를 상업가동하고 2030년까지 순차적으로 완공할 예정이다.
자동차 분야에서는 BMW와 중국의 Brilliance Auto가 합작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며, 지멘스(Siemens)와 중국 국영 전력투자집단(CPI)은 고성능 가스터빈 개발 공동투자 등을 약속했다. <강윤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