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여수국가산업단지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는 시설 노후화와 관리감독 부족이 원인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11월9일 오후 여수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여수산업단지 50주년 기념 환경안전 시민토론회에서 임종길 플랜트건설노조 여수지부장은 “생산설비·시설 노후와 관리 감독 부재가 안전사고의 원인”이라고 주장했다.
임종길 지부장은 “공정을 중단하고 청소하는 대정비 기간에는 관리감독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며 “현장마다 발주처의 관리감독자 배치를 확대하고 감독관 인력이 부족해 현장감독이 어려우면 전문성 있는 명예안전감독관 수를 늘리고 제도 정비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유해화학물질의 누출과 휘발성물질의 폭발로 일어나는 사고에 대해서만큼은 명백한 위험의 외주화인 만큼 원청 사업주에 대한 가중처벌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조환익 여수환경운동연합 정책국장도 “안전사고 이후 고용노동부의 철저한 법 위반 조사와 외부 전문가와 이해 당사자인 노동단체가 참여하는 조사단의 사고 원인 규명을 해야 한다”며 “조사 결과에 따라 발주처의 법 위반 사항 및 책임자에 대해 강력하게 처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산업단지에서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에 대한 대응방안도 제시됐다.
김신범 노동환경연구소 부소장은 “화학사고별 대응 범위와 주체는 사고 초기에 판단하기 곤란하다”며 “화학사고 신고는 단일화한 뒤 목적에 따라 다른 대응과 협력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인 LG화학 안전환경담당 상무는 “협력기업의 사고 예방을 위해 공생협력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안전관찰자 자격 인증제를 도입해 사고 예방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며 “안전교육은 주 52시간 근무의 예외 규정을 두어 근로시간에 포함하지 않도록 제도를 개선해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여수단지는 2014년부터 2018년 9월까지 최근 4년간 여수단지에서 총 23건의 안전사고가 발생해 전국 63개 산업단지 중 울산 41건에 이어 2번째로 많았다. 전국적으로는 149건의 안전사고가 발생해 240명이 숨지고 211억원의 피해가 났다.
토론회는 이용주 국회의원과 여수산업단지공동발전협의회, 전남녹색환경지원센터가 주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