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플래스틱 조립식 모형(일명 프라모델) 만들기가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프라모델용 접착제에서 발암물질 등 유해 화학물질이 검출돼 소비자의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소비자원은 시중에 유통·판매되고 있는 프라모델용 접착제 20개를 대상으로 유해물질 안전성 및 표시실태를 조사한 결과 5개(25.0%)에서 유해 화학물질이 검출됐다고 1월24일 발표했다.
조사대상 20개 중 3개(15.0%)에서 안전기준을 초과하는 톨루엔(Toluene), 아세트알데하이드(Acetaldehyde),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가 각각 검출돼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2개(10.0%)에서는 화학물질관리법에서 사고대비물질로 분류되는 MEK(Methyl Ethyl Ketone)이 나왔다.
포름알데하이드는 인체 발암성 물질로 분류되며 한꺼번에 너무 많은 양을 흡수하면 사망에 이를 수도 있고, 아세트알데히드는 인체발암 가능 물질이며, 톨루엔과 MEK는 흡입하면 두통, 어지러움 등을 유발한다.
사고대비물질은 화학물질 중 급성독성·폭발성 등이 강해 화학사고 발생 가능성이 큰 것으로 MEK가 25% (25만mg/kg) 이상 함유된 혼합물은 사고대비물질로 분류된다.
문제가 된 접착제에서는 톨루엔이 kg당 30만2556mg으로 안전기준(5000mg/kg 이하)의 60배, 아세트알데하이드는 1561mg으로 안전기준(1000mg/kg 이하)의 1.5배, 포름알데하이드는 458mg으로 안전기준(100mg/kg 이하)의 4.5배 초과 검출됐다. MEK는 기준을 초과한 26만996-79만9천871mg/kg 수준이 검출됐다.
프라모델용 접착제는 대부분 표시기준도 제대로 지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해우려제품으로 분류되는 프라모델용 접착제는 품명, 종류, 모델명, 생산연월 등의 일반 표시사항과 안전기준을 준수했음을 나타내는 자가검사표시를 최소단위 포장에 표기해야 하나 조사대상 20개 중 18개(90.0%)가 표시사항을 전부 또는 일부를 누락시켰고, 17개(85.0%)는 자가검사번호가 표시돼 있지 않았다.
소비자원은 기준을 넘은 유해물질이 검출된 프라모델용 접착제 제조·수입업자에 판매중지, 회수 등 자발적 시정을 권고했다.
송명훈
2020-09-10 17:04:45
평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