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석산(Tartaric Acid)은 천연제품을 중심으로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주석산은 유럽 등에서 2018년 가을 포도 수확이 원활하게 이루어진 영향으로 원료 생주석(Argol) 공급이 충분해진 상황이며 해당 원료가 시장에 유통되는 2019년 봄부터 천연 유래제품 공급량이 증가함으로써 수급이 완화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2019년 초까지는 2018년 가을 이전 흉작 상태에서 채취한 원료를 사용해 수급이 타이트할 수밖에 없었으나 앞으로는 원료 공급난이 해결되면서 타이트 상태도 해소될 것으로 파악된다.
주석산은 천연 원료를 베이스로 생산하거나 무수말레인산(Maleic Anhydride)을 원료로 합성해 제조하고 있으며 와인 등의 산미료나 금속 표면처리제, 수지·시멘트 첨가제, 의약용 찜질제 등에 사용되고 있다.
가장 많이 유통되는 천연 유래제품은 포도에서 채취한 생주석을 주요 원료로 채용한 것이며, 프랑스 등 와인 생산국의 포도 수확 상황에 공급량이 좌우되고 있다.
2017년에는 유럽·미국의 이상기후와 대규모 산불 등으로 포도 작황이 좋지 않았으며 생주석 채취량도 과거 60년 사이 최저 수준으로 격감했다.
생주석 최대 생산국인 유럽은 잦은 안개와 가뭄 등으로 수십년 동안 포도 흉작이 이어지고 있으며 2018년에도 공급량 감소 및 품질 하락 등이 주석산 가격 강세에 영향을 미쳤다.
또 세계적인 수요 신장도 가격 상승요인으로 작용하며 여름철에는 수급타이트가 본격화돼 2013년 갱신한 사상 최고가를 상회하는 수준으로 급등했다.
그러나 2018년 가을에는 유럽 포도 작황이 풍작으로 전환됐고, 특히 프랑스는 여름철 무더위로 수확 시기가 앞당겨져 와인 생산량이 대폭 회복된 것으로 알려졌다.
품질도 양호한 수준이며, 생주석 공급량 역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주석산 가격은 2018년 가을 이후부터 이어진 상승세를 멈추고 최근에는 강보합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해당 생주석 유통이 본격화되는 봄철부터 하락할 것으로 예측된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