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발전용 연료전지 산업 육성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월5일 서울 한국생산성본부에서 발전용 연료전지업계 간담회를 갖고 민관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연료전지는 수소 화학반응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신재생에너지로, 이산화탄소(CO2) 등 온실가스 배출이 없고 소규모 설치가 가능하다.
세계 발전용 연료전지 시장은 2023년 3조3000억원 수준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수소자동차, 수소드론, 수소선박 등 융합 분야도 광범위하다.
간담회는 국내 발전용 연료전지 발전 방향과 육성전략 마련을 위해 연료전지 관련기업, 발전 공기업, 특수목적법인(SPC) 관계자 등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이미 설치된 연료전지 운전상황과 발전효율 등 기술현황을 확인·공유하고 성장 가능성을 검토했으며 정부가 1월 발표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기반으로 연료전지 보급 목표 가능성을 진단했다.
로드맵은 2020년까지 연료전지 핵심부품 100%를 국산화하고 2040년에는 내수용 연료전지 8GW를 보급하는 목표를 담고 있다.
산업부는 발전용 연료전지 연구개발(R&D) 추진 방향을 설명하고 연료전지 초기시장 육성·기술개발 지원 방안에 대한 관련기업 의견을 수렴했다.
연료전지 전용 액화천연가스(LNG) 요금제를 신설하고 일정기간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를 유지해 투자 불확실성을 제거할 방침이다.
또 안정적인 연료전지 사업 추진을 위해 20년 고정가격제도 도입도 적극 검토할 계획이다.
간담회 참석자들은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 담긴 발전용 연료전지 발전방향과 취지에 공감했으며 세계 최고 기술수준과 시장점유율을 확보하기 위해 투자 확대가 필요하다고 역설하며 연료전지 시장이 성장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 지원을 거듭 당부했다.
주영준 산업부 에너지자원실장은 “연료전지는 수소자동차와 함께 수소경제 선도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핵심 축”이라며 “정부 지원을 신설·강화하고 기술개발 사업을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중소·중견기업과 연구기관, 대학 등이 협업해 기술 완성도를 높이고 연료전지 분야 고급인력을 지속 양성, 수소경제 이행 기반·산업생태계 구축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