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이 2030년까지 바이오와 케미칼 의약품 사업에 총 40조원을 투자한다.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은 5월16일 인천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30년까지 성장 로드맵을 담은 비전 2030을 공개했다.
비전 2030의 핵심은 ▲인천 송도에서 진행하고 있는 바이오의약품 사업에 25조원 ▲충북 오창의 케미칼 의약품 사업에 5조원 ▲U-헬스케어 플랫폼 사업에 10조원을 투자한다는 내용으로, 우선 본사가 있는 송도에서 면역 항암제를 포함한 2세대 바이오시밀러를 20개 이상 개발하고 신규 치료기전을 도입한 신약을 확보하는데 16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아울러 바이오의약품 원료의약품 1500배치(100만리터)를 생산할 수 있는 설비 확충, 1억바이알을 생산할 수 있는 완제의약품 생산환경 구축 등 세계 1위 수준의 생산능력을 확보하는데 5조원을 투자한다.
글로벌 유통망 확충과 스타트업 지원에도 4조원을 투입하며 2019년 말까지 유럽에서 직판체계를 확립하고 2020년에는 아시아·중남미 등지로, 2021년에는 세계 최대 제약시장인 미국·캐나다까지 직판체계를 확대할 방침이다.
케미칼 의약품 사업은 충북 오창에 있는 셀트리온제약을 주축으로 추진한다.
의약품 수명 주기를 고려해 50여개 파이프라인을 운영하고 신약을 개발하는 데 4조원을 투입하는 한편 생산설비 확충 등에 1조원을 쓸 예정이다.
이밖에 U-헬스케어 플랫폼 사업과 관련해서는 헬스케어 사업 전반에 활용 가능한 플랫폼을 개발하고 의료데이터·인공지능에 집중 투자할 방침이다.
환자-진료-처방-유통과정을 4차산업과 연계해 바이오 e-커머스 플랫폼 사업을 진행하고 맞춤형 진료와 정밀 진료에 필요한 의료 데이터 수집 진단기기도 개발·생산할 계획이다.
셀트리온은 해당 투자계획에 따라 약 11만명의 일자리 창출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의약품 연구개발(R&D) 인력 2000명, 바이오·케미칼 의약품 공장 확충에 따른 생산설비 필요인력 8000명 등 1만여명의 직접 고용과 함께 관련산업 전반에 걸쳐 10만명의 간접 고용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