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이 수소도시 지정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정부가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해 2019년 말까지 수소도시를 최대 3곳 선정하고 2022년까지 완성할 계획인 가운데 일부 관계자들은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이 구현될 수소경제 도시(수소도시)로 울산이 가장 유력하다고 보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해당 내용을 담은 수소 시범도시 추진 전략을 발표했다고 10월10일 밝혔다.
수소도시는 하나의 도시 안에서 수소 생산·저장·이송·활용이 모두 진행되는 수소 생태계를 갖춘 곳으로 수소를 주요 에너지원으로 취한다.
국토부는 도시 내 3-10평방미터 면적을 주거·교통 분야 수소 활용 기술을 테스트할 수소 시범도시로 지정할 방침이며 지방자치단체로부터 받은 사업 계획을 토대로 공정한 평가를 거쳐 12월 3곳을 최종 선정할 방침이다. 계획 타당성, 실현 가능성, 수소 정책 추진 의지 등을 주요 선정 기준으로 삼을 예정이다.
선정된 지역 1곳당 수소 친화 도시계획(MP) 수립비와 연료전지·파이프라인·수소 통합운영센터 등 핵심인프라 구축비를 포함한 총사업비(290억원 한도)의 50%를 국비로 지원한다.
수소 시범도시에는 수소를 에너지원으로 삼는 공동주택(연료전지 440kW급 설치), 상업빌딩(100kW급), 통합운영플랫폼(센터), 수소 배관, 도시가스 추출기 등을 구성한다.
울산이 수소도시의 가장 유력한 후보지로 주목받고 있다.
국내에서 유일하게 수소자동차를 생산하고 있는 현대자동차 공장이 집약돼 있고 대규모 석유화학단지를 보유해 부생수소 생산능력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울산 외 후보지 2곳도 화학단지, 자동차산업 등 수소경제산업과 연계할 수 있는 인프라가 갖추어진 곳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된다.
이상주 국토부 도시정책과장은 “도시 내 수소 생태계가 조성되면 주민들이 편리하게 수소를 활용할 수 있고 수소경제도 활성화될 것”이라며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시범도시를 조성하겠다”고 강조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