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료 중간체는 글로벌 가격이 급등세를 나타내고 있다.
주요 생산국인 중국이 2019년 3월 장쑤성(Jiangsu)에서 발생한 대규모 폭발사고 이후로 공장에 대한 감시체제를 강화하고 있어 생산량 감소가 불가피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레조르신(Resorcin)을 비롯해 생산기업이 한정된 품목들은 공급이 충분하지 못한 상태이며 앞으로도 중국이 감시체제를 완화할 가능성이 낮아 수급타이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중국은 세계 각국에 유통되고 있는 염료 중간체 공급을 장악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 정부가 최근 수년 동안 염료 중간체 공장이 환경오염에 미치는 영향이 많다는 이유로 집중 불시단속을 벌이면서 대책을 세우지 못한 곳을 엄격하게 처벌해 중소기업 도태가 진행됐고 현재는 소수의 메이저들만이 생산하고 있다.
2019년 3월 말에는 염료 중간체 등을 주로 생산하는 장쑤성 산업단지에서 대규모 폭발사고가 발생해 염료는 물론 의약품 중간체까지 생산능력 확대가 금지된 바 있다.
해당 사고 여파가 중국 전국에 퍼지면서 염료 중간체 공장들은 현재 가동률이 50% 이하로 급락했으며 수급타이트가 심화돼 대부분 중간체 가격이 평상시의 2-3배 폭등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최근까지도 감산체제가 이어지며 가격 상승세가 장기화되고 있다.
일본 등 수요국들은 인디아산으로 선회해 대응하고 있으나 인디아산 역시 조원료는 중국산을 사용하고 있어 시황이 중국의 상황에 좌우되고 있다.
중국 정부의 화학공장에 대한 환경규제 및 생산 허가기준 강화 움직임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염료 중간체는 장쑤성 사고 영향까지 겹치면서 수급이 완화될 가능성이 희박하며 한동안 급등세가 불가피할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