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로 2분기 수출경기가 악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국내 915개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2분기 수출산업 경기전망지수(EBSI)는 79.0으로 2020년 1분기 102.2에 비해 대폭 하락했고 2013년 1분기 78.4 이후 7년 3개월만에 80선이 붕괴됐다.
EBSI는 다음 분기 수출경기에 대한 국내 수출기업의 기대를 나타내는 지표로, 기준선인 100을 상회하면 수출여건이 전분기대비 개선, 100을 하회하면 악화될 것으로 본다는 의미이다.
석유제품은 EBSI가 59.7, 철강 및 비철금속제품 61.2, 무선통신기기 63.2, 기계류 67.1, 자동차 71.2, 반도체 77.0 등으로 대부분 품목에서 수출경기 악화를 예상하고 있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글로벌 수요 부진과 가동중단, 운송 제약에 따른 원료 및 부자재 조달 차질 등이 부정적인 전망을 키운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다만, 선박은 EBSI가 124.7, 가전 104.7, 농수산물도 103.3 등으로 나타나 수출이 다소 개선되거나 1분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기대하는 품목도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선박은 주력 선종인 액화천연가스(LNG)선과 초대형원유운반선(VLCC)의 인도 증가, 조선기업 수주 회복, 가전과 농수산물은 한국산 선호도 향상 등이 수출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항목별로는 모든 항목이 90 이하를 기록하면서 수출 환경이 전반적으로 나빠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다.
특히, 국제 수급 상황이 68.5, 수출 대상국 경기 72.7, 상품 제조원가는 78.8를 기록하며 크게 나빠질 것으로 우려됐다.
수출기업들은 2분기 주요 애로사항으로 수출 대상국 경기 부진(17.2%)을 가장 많이 선택했고 원료가격 상승 14.9%, 바이어의 가격 인하 요구 12.1%, 물류 코스트 상승 10.8% 등이 뒤를 이었다.
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강성은 연구원은 “코로나19의 세계적 유행으로 글로벌 수요 부진과 경기 불확실성이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며 “수출피해 최소화를 위한 정부와 관련 기관의 정책 공조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