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자동차(EV) 성장을 타고 배터리 폐기량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법령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EV 시장은 글로벌 판매량 기준으로 2017년 368만대에서 2020년 850만대, 2025년에는 2200만대로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EV 배터리는 사용기간이 길어질수록 충전속도와 용량이 줄어들게 되며 일반적으로 5-10년 동안 15만-20만km를 주행하면 교체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폐배터리는 ESS(에너지저장장치)에 활용하는 재사용과 새로운 배터리를 제조할 때 사용 가능한 소재를 분리하는 재활용 방식으로 구분해 처리하고 있다.
국내기업들은 폐배터리 재사용·재활용 연구를 통해 시장 선점을 노리고 있다.
LG화학은 2019년부터 현대자동차, 르노삼성자동차와 각각 손잡고 EV 폐배터리를 활용한 ESS 개발에 나섰고, SK이노베이션은 배터리 생산 뿐만 아니라 수리‧대여‧재사용‧재활용까지 생각한 친환경 밸류체인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삼성SDI도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고, 한화큐셀과 현대자동차는 EV 배터리의 재사용을 기반으로 한 태양광 ESS 공동 개발에 착수했다.
하지만, 현재는 보조금을 지급받은 자동차 기준으로 사용 후 배터리를 시·도자치단체가 소유하게 되고 재활용·재사용이 가능하면 판매·양도가 불가하기 때문에 모든 폐배터리를 위탁 장소에 방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관련 법령 마련이 시급하나 수거-평가-공급으로 이어지는 체인을 구축하는 작업이 먼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아직까지는 선진사례 부족, 법률적 이슈, 불명확한 시장성은 물론 절대적인 배터리 배출량이 적다는 점에서 공급체인을 구축하기까지 상당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개별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폐배터리 통계를 낸 이후에야 시장성을 파악할 수 있어 이르면 2021년 중반은 돼야 관련 법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