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백신 개발이 속도를 내고 있다.
옥스퍼드대 연구팀은 7월20일(현지시간)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와 진행한 코로나19 백신 1단계 임상시험 결과를 의학전문지 랜싯(Lancet)에 게재했다.
연구팀은 4월 영국 성인남녀(18-55세) 1077명을 대상으로 1단계 임상시험을 실시했고 투약자들의 체내에서 항체와 T세포가 모두 형성된 것으로 전해졌다.
항체는 바이러스가 세포에 들어오는 것을 막지만 T세포는 이미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확인하고 파괴하는 방식으로 면역에 기여하고 있다.
90%는 백신 1회 투약으로, 나머지는 2회째 투약으로 중성화 항체가 형성돼 사실상 전원이 항체 형성에 성공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투약은 4주 간격으로 이루어졌고 백신 투약으로 형성된 항체는 코로나19에서 회복된 이들과 비슷한 수준으로 분석되고 있다. 여기에 T세포가 추가적인 보호막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투약자 70%는 치명적이지는 않지만 열과 두통 등의 부작용을 경험했으나 해열·진통제인 파라세타몰로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연구팀은 영국 1만명, 미국 3만명, 브라질 5000명, 남아프리카 2000명 등이 추가로 대규모 임상시험에 참여할 예정이다.
7월20일 랜싯에는 옥스퍼드대 개발 백신 외에 중국 칸시노(CanSino)와 중국군이 함께 개발하고 있는 백신의 중간 연구결과도 게재됐다. 칸시노 임상시험은 500명 이상을 대상으로 했고 백신 투약자는 대부분은 전반적인 항체 면역반응을 형성하는데 성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화이자(Pfizer)와 독일 바이오기업 바이오엔테크(BioNTech)도 코로나19 백신의 2번째 초기시험에서 면역반응 유도에 성공했다
60명의 건강한 지원자를 대상으로 독일에서 진행한 시험 결과 2차례 백신을 복용한 접종군에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를 무력화할 수 있는 중화항체가 형성됐다.
앞서 미국에서 진행한 첫번째 초기 시험 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며 독일 시험에서는 백신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항하는 고도의 T세포 반응도 유도해 주목되고 있다. 시험 대상자들 중 일부가 독감과 비슷한 증상을 호소한 것 외에 심각한 부작용을 경험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화이자와 바이오엔테크는 7월 말 최대 3만명의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추가 임상시험을 시작할 계획이다.
미국 모더나(Moderna)는 초기 임상시험에서 실험 대상자 전원이 항체 형성에 성공했다고 발표한 바 있으며 7월27일부터 백신 개발의 마지막 단계인 3상 임상시험에 들어갈 예정이다.
현재 세계적으로 150개 이상의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이 개발되고 있고 23개가 사람을 대상으로 한 시험에 들어갔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