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Polypropylene)는 900달러에 턱걸이했다.
아시아 PP 시장은 동남아의 거래가 줄어들고 있는 가운데 중국의 신규 플랜트 가동이 줄이어 하락이 불가피했다.

PP 시세는 7월22일 라피아(Raffia) 및 인젝션(Injection) 그레이드가 CFR FE Asia 톤당 900달러로 15달러 하락했으나 CFR SE Asia는 940달러로 변동이 없었다. 동북아는 IPP Film이 910달러, BOPP는 915달러, 블록 코폴리머(Block Copolymer)는 940달러로 각각 15달러 떨어졌으나 동남아는 각각 945달러, 960달러, 980달러를 유지했다.
동북아시아는 중국기업들이 연속 상승에 대한 반발로 구매가 위축되고 있는 가운데 8월 신규 플랜트 3기 가동을 앞두고 있어 추가 하락이 불가피한 것으로 판단된다. 중국 내수가격은 라피아 그레이드가 ex-works 톤당 7635위안으로 100위안 떨어졌다.
중국에서는 8월 Liaoning Bora Petrochemical이 60만톤, Zhongke (Guangdong) Refining & Petrochemical이 55만톤, Sinochem Quanzhou Petrochemical이 40만톤 플랜트를 신규 가동할 예정이다.
중국은 155만톤 플랜트가 신규 가동할 예정이나 경제활성화 조치로 구매가 양호한 편이나 미구과의 무역전쟁이 본격화될 조짐을 보여 시장이 크게 위축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동남아시아는 공급에 별 변화가 없는 가운데 바이어들도 구매를 적극화하지 않음으로써 전체적으로 보합세를 형성했다.
그러나 타이의 IRPC Public이 8월 중순 맵타풋(Map Ta Phut) 소재 PP 30만톤 플랜트의 정기보수를 끝내고 재가동할 예정이어서 하락세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된다. IRPC Public은 PP 47만5000톤 플랜트를 정상 가동하고 있으나 전체 가동률은 60%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인디아는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가 확산일로를 걸으면서 시장이 위축되고 있으며 내수 거래에서 할인을 요구하는 사례가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Indian Oil(IOC)가 7월 말부터 15일 동안 파라딥(Paradip) 소재 PP 70만톤 플랜트를 정기보수할 예정이어서 폭락으로 전환되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IOC는 정유공장을 7월25일부터 8월15일까지 정기보수하는데 맞춰 PP 플랜트도 정기보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