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대표 신학철)은 합성수지와 동등한 성질을 구현하는 100% 생분해성 신소재를 개발했다.
LG화학은 옥수수 성분의 포도당과 폐글리세롤을 활용한 생분해성 신소재를 개발했으며 PP(Polypropylene) 등 합성수지와 동등한 기계적인 물성과 투명성을 구현하는 단일소재로 세계 최초의 성과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기존 생분해성 소재는 물성과 유연성을 강화하기 위해 다른 플래스틱 소재나 첨가제를 섞어야 해 공급기업별로 물성과 가격이 달랐으나, L
G화학 신소재는 다른 소재나 첨가제가 들어가지 않는 단일소재여서 수요기업이 원하는 품질이나 용도에 맞추어 물성을 갖출 수 있다.
특히, 유연성을 기존 생분해성 소재보다 최대 20배 이상 개선했으며 가공 후에도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어 생분해성 소재를 다량 사용하는 친환경 포장재산업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최근 세계 각국에서 일회용품 사용규제를 강화하면서 생분해성 소재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비닐봉투, 완충제, 일회용 컵, 마스크 부직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생분해성 소재 시장규모는 2019년 4조2000억원에서 2025년 9조7000억원까지 연평균 약 15%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LG화학 미래기술연구센터는 생분해성 핵심물질에 대한 고유의 원천기술을 활용해 신소재 개발에 성공했다. LG화학은 현재 국내외에서 생분해성 관련 원천특허 25건을 보유하고 있다.
신소재는 독일 국제인증기관 딘 서스코(DIN CERTCO)로부터 유럽의 산업 생분해성 인증 기준에 따라 120일 안에 90% 이상 생분해된다는 결과를 확인받았다.
LG화학은 신기술을 바탕으로 생분해성 소재 시장 진입에 속도를 내고 동시에 바이오 원료 확보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2022년 수요기업을 대상으로 시제품 평가를 진행하고 2025년 양산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LG화학 최고기술경영자(CTO) 노기수 사장은 “세계적으로 친환경 소재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100% 바이오 원료를 활용한 독자기술로 생분해성 원천 소재를 개발했다는데 의미가 있다”며 “자원 선순환과 생태계 보호에 앞장서는 화학기업으로 발돋움하겠다”고 강조했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