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솔루션(대표 이구영‧김희철‧류두형‧김동관)이 수전해 분야 석학인 정훈택 미국 로스앨러모스 국립연구소(LANL: 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 수석연구원(박사)을 수소연구센터장으로 영입했다.
정훈택 신임 센터장(사진)은 카이스트(KAIST)에서 소재과학 석·박사 학위를 받고 일본 도쿄(Tokyo)공업대 박사 후 연구원(포스닥) 과정을 거쳐 미국 LANL에서 14년 넘게 수전해·연료전지의 핵심 소재와 시스템 전반을 연구해왔다.
LANL은 국가 안보, 우주항공, 재생에너지, 슈퍼컴퓨터 등을 연구하는 세계 최대 연구소 가운데 한곳으로 알려져 있다.
정훈택 센터장은 한화솔루션이 2023년 상업화를 목표로 추진하는 음이온 교환막(AEM) 방식의 차세대 수전해 기술 개발을 총괄할 방침이다.
2019년부터 연세대, 카이스트, 미국 렌슬리어(Rensselaer)공과대 등과 추진해온 연구개발(R&D)로, 정훈택 센터장 영입을 통해 더욱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수전해 방식은 물에 전기를 흘려 수소와 산소로 분해하는 전기화학적 기술로 현재 알카라인 수전해 기술(AEC)로 상업화됐으나 전력 소모가 많고 전력 변화에 대응이 늦어 재생에너지로 생산하는 전력을 활용하는데 한계가 지적되고 있다.
정훈택 센터장은 물 분해 과정에서 전력 사용량을 줄이는데 필요한 촉매와 음이온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음이온 교환막 분야에서 세계적인 기술력과 연구진 네트워크를 보유했으며 미국 에너지부의 연구과제를 수행하며 쌓아온 기술로 기존 방식의 단점을 보완한 설비를 개발할 예정이다.
한화솔루션은 케미칼부문이 주도하고 있는 수전해 기술이 경제성을 갖추면 수소 생산·저장, 운송, 충전 등 밸류체인에서 세계 선두의 경쟁력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큐셀부문이 태양광과 풍력 등을 통해 재생에너지를 생산하고, 첨단소재부문은 최근 인수한 미국의 고압탱크 전문기업 시마론(Cimarron)과 함께 수소의 저장·운송을 맡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정훈택 센터장은 “그린수소에 대한 각국의 기술 경쟁이 본격화하는 시점에 수전해 기술 연구 경험과 관련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해 국가 수소에너지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싶다”고 강조했다. (강윤화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