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화탄소(CO2) 포집·활용·저장(CCUS) 상용화를 위해 민관이 협력하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4월7일 민관 합동 K-CCUS 추진단을 발족했다고 밝혔다. 추진단에는 SK이노베이션, 두산중공업, 현대중공업, 한국조선해양, GS칼텍스, 에쓰오일 등 철강·시멘트·석유화학 분야 주요기업 50여사와 석유공사, 한국전력, 발전 5사, 가스공사 등 10개 에너지 공기업, 15개 연구기관 및 20여 대학 등 80여개 기관이 참여했다.
최근 세계적으로 탄소중립 논의가 활성화되면서 이산화탄소 처리를 위한 CCUS의 중요성이 커지는 가운데 추진단은 산업계의 기술 개발 및 정책 수요를 발굴하고 성과 확산 방안 등을 마련해 정부에 제안함으로써 CCUS 기술의 개발 및 상용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잇다.
상설 사무국 운영을 통해 CCUS산업 육성, 국내외 기술·정보 교류 활성화, 기술 개발 및 인력 양성, 국제협력 업무를 추진할 예정이다.
정부는 이미 개발된 기술에 대한 실증 투자를 늘려 2025년까지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분야별로 상용화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한다는 구상을 그리고 있다.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은 철강·시멘트·석유화학·수소·LNG(액화천연가스) 발전 등 주요 산업별로 중소규모의 테스트베드를 구축해 단계적으로 실증사업을 추진하는 방식으로 확보할 예정이다.
저장 기술은 2022년 6월 가스 생산이 중단되는 동해가스전을 활용한 중규모 통합 실증사업을 통해 2025년부터 이산화탄소 총 1200만톤(연간 약 40만톤)을 저장할 계획이다.
정부는 2023년까지 국내 대륙붕 탐사·시추를 통해 경제성과 안전성을 갖춘 1억톤급 저장소를 우선 확보하겠다는 구상도 밝히고 있다. 매년 400만톤의 이산화탄소를 약 30년 동안 저장할 수 있는 수준으로 파악된다.
이밖에 CCUS 실증 및 사업화 지원센터를 구축해 스타트업과 혁신기업을 육성하고 CCUS산업 육성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가칭)도 제정하기로 했다.
이호현 에너지혁신정책관은 “CCUS 기술로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CCUS산업을 기후대응 신산업으로 육성하려면 민관의 협업이 필수적”이라며 “정부도 민간 수요를 바탕으로 기술 개발과 상용화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강윤화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