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CO2)를 활용하는 유용한 물질 14종을 확보하겠다는 구상을 내놓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6월15일 임혜숙 장관 주재로 제18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기술혁신 로드맵과 바이오헬스 규제과학 발전전략을 토론안건으로 상정해 논의했다.
CCU는 발전소나 각종 공장 등 온실가스 배출원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한 뒤 자원화하거나 에탄올(Ethanol), 메탄올(Methanol) 등 화학산업 원료 또는 생물 등 유용한 물질로 전환하는 기술이다.
전세계적으로 이산화탄소를 배출한 만큼 흡수해 순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탄소중립이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한국도 2050년 탄소중립 실
현을 목표로 이산화탄소 감축을 추진하고 있다.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한 CCU 기술혁신 로드맵은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전환하는 CCU 상용제품 14개를 확보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정부는 이산화탄소포집, 화학전환, 생물전환, 광물탄산화, 기타 탄소 등 5대 분야에서 59개 중점기술을 선정했다.
특히, 핵심기술을 확립한 이산화탄소 포집 비용은 현재 톤당 60-70달러에서 2050년까지 20달러 수준으로 낮출 계획이다.
2023년부터는 1000억원 이상의 CCU 3050 핵심기술 개발 사업(가칭)에도 착수해 2010-2019년 총 4600억원에 불과했던 정부 R&D(연구개발)도 확대할 계획이다.
현재 소규모로 추진하고 있는 이산화탄소 포집·전환 공정 실증도 중·대규모로 격상해 현장 적용에 속도를 내고 적용기업들에 R&D 세액공제와 정부 R&D 매칭 비율 완화 등 인센티브를 제공할 방침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관계자는 “로드맵이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과 2050년 탄소중립을 실현해 나가는 중요한 이정표로 작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의료 혁신제품의 시장 진입을 돕고 바이오헬스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바이오헬스 규제과학 발전전략(안)도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됐다.
규제과학 개념 정립과 확산, 국가 R&D 파트너십 강화, 혁신기술 기반 규제과학 연구 고도화, 규제역량 강화 플랫폼 구축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강윤화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