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메탄올(Methanol) 연료 추진선박 시대가 다가왔다.
해양수산부는 6월18일 한국선급이 제출한 저인화점 연료 선박규칙 개정안을 최종 승인할 예정이다.
개정안은 선박검사를 실시할 때 메탄올과 에탄올(Ethanol)의 특성으로 발생할 수 있는 폭발·화재 등에 대해 안전성을 갖추었는지를 점검하도록 했고 인체 유해성과 구조 강도 등에 대해 선박이 안전성을 갖추었는지도 살피도록 했다.
에탄올과 메탄올은 인체에 유해한 독성이 있어서 연료로 사용하려면 가스 배출을 차단하는 밀폐공간에 관련 장치를 설치해야 하고 부식성 때문에 저장탱크나 연료 수송관으로는 스테인리스강 등 부식에 강한 소재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한국선급의 지침 개정은 메탄올과 에탄올 연료 사용에 대한 세계적 추세를 반영하고 현재 건조를 추진하는 한국 국적의 메탄올 연료 추진 선박이 나오는데 대비하자는 취지로 파악된다.
국제해사기구(IMO)는 2020년 12월 메탄올·에탄올 연료 추진선박 임시 안전지침을 마련해 미래 수요에 대비했으며 국내에서는 현대미포조선이 5만DWT(선박 자체 무게를 제외한 순수 화물 적재무게)의 선박 건조를 추진하고 있다.
현대미포조선은 기존에 다수의 메탄올 연료 추진 선박을 건조해 일본, 스웨덴, 노르웨이 등으로 수출한 바 있다.
메탄올은 기존 선박 연료유에 비해 황산화물(SOx)은 99%, 질소산화물(NOx)은 80%, 온실가스는 25%까지 줄일 수 있어서 액화천연가스(LNG)를 잇는 친환경 선박연료로 주목받고 있으며 최근에는 주원료인 천연가스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생산단가가 낮아진 덕분에 차세대 선박연료로 부상하고 있다.
에탄올도 메탄올처럼 친환경 연료로 주목받고 있으나 사탕수수, 사탕옥수수 등을 원료로 만들어 생산단가가 상당히 높고 원료 공급이 불안정한 탓에 현재까지는 건조 수요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양수산부는 앞으로 수소연료전지 추진선박과 암모니아(Ammonia) 연료 추진선박의 검사기준도 마련할 계획이다.
최종욱 해양수산부 해사산업기술과장은 “세계적으로 해양환경 규제가 점차 강화됨에 따라 친환경 선박의 건조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면서 “정부도 메탄올 연료 추진선박을 비롯한 다양한 친환경 선박이 개발·보급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방안을 시행하겠다”고 강조했다. (강윤화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