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전고체전지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포스텍 박문정 화학과 교수와 통합과정 민재민 씨, 손창윤 첨단재료과학부 교수 연구팀이 전고체전지의 이온 전도율을 떨어뜨리는 데드존이 없는 폴리머 전해질을 개발했다.
전고체전지는 고체 전해질을 사용해 충돌에 안정적이고 인화성이 없어 화재로 이어질 위험이 낮다는 점에서 포스트 LiB(리튬이온전지)로 부상하고 있다.
연구팀이 개발한 정전기적 상호작용으로 구조를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고분자 고체 전해질은 2차원 패턴 구조에 필연적으로 존재하는 데
드존에서 이온이동도가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을 근원적으로 해결할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
연구팀은 고분자 전해질 내 정전기적 힘을 제어함으로써 새로운 나노구조 전해질을 개발했고 정교한 합성법을 통해 서로 다른 정전기적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이종의 고분자 전해질을 합성했다.
광범위한 분자 역학 시뮬레이션을 통해 컴퓨터를 기반으로 전해질 내부 이온분포를 국내 최초로 계산했으며 계산 결과 수 옹스트롱(Å) 단위에서 전하분포를 규명하고 실험 결과와 일치함을 입증했다.
연구는 이종금속에서만 나타났던 특별한 나노구조를 고분자 전해질 소재로부터 관측했다는데 특징이 있으며 나노구조가 형성되는 원인을 실험과 이론적 계산을 통해 체계적으로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또 고분자 전해질 옹스트롱 단위에서 전하분포를 제어함으로써 2차원 패턴구조 대비 10배 이상 높은 전도도를 가지는 단단한 고체 전해질을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 첫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고분자 전해질 합성 분야에서 세계적인 선두그룹을 유지하고 있는 박문정 교수와 AI(인공지능) 시대를 맞이해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컴퓨터 계산 전문가인 손창윤 교수와의 만남이 큰 시너지를 낸 것으로 파악된다.
박문정 교수는 “새로운 나노구조는 기존에 획일적으로 보고되던 2차원적 구조와 비교해 큰 폭의 전도도 향상을 가능케 한다”며 “연구를 기반으로 전고체전지의 상용화를 앞당기고 안전한 배터리를 개발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구는 연구재단 중견연구자 사업, 미래소재디스커버리 사업, 선도연구센터 사업, 신진연구자 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으며 에너지·화학 분야 권위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에 성과가 게재됐다. (강윤화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