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대형 액화이산화탄소(LCO2) 운반선 공동 개발에 나선다.
탄소중립과 수소사회로의 전환에 따라 탄소포집·활용·저장(CCUS) 기술 관련 시장이 커질 것으로 보고 선제적 투자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코는 8월27일 현대미포조선, 한국조선해양, 로이드선급(LR), 라이베리아 기국과 LCO2 운반선 공동기술개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참여기업들은 2025년까지 단계별로 2만CBM(입방미터) 이상의 대형 LCO2 운반선을 개발할 계획이다.
포스코는 대형 LCO2 저장탱크에 요구되는 저온 고압을 견디는 강재 및 이용기술을, 현대미포조선과 한국조선해양은 운반선의 설계와 건조
에 필요한 용접 기술 등을 각각 개발한다.
로이드선급은 강재인증과 저장탱크 설계·제작에 관한 기술검토와 관련 규정을 제·개정하고, 라이베리아 기국은 선박등록 규정 정립과 기국 승인 절차 일체를 담당하기로 했다.
포스코가 LCO2 운반선 개발에 뛰어든 것은 세계적인 탄소중립 흐름과 수소사회로의 전환에 따라 산업활동에서 나오는 탄소의 포집과 활용·저장 기술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2020년 최대 4000만톤 가량의 이산화탄소가 포집됐고 대부분 지층에 영구 저장되거나 유정에 재주입돼 석유 회수 증진 용도로 사용됐다.
CCUS 기술은 2070년까지 전세계 이산화탄소 감축량의 15%에 해당하는 100억톤을 담당하게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산화탄소를 저장시설로 운송하기 위한 대형 LCO2 운반선 개발이 시급하며 포스코 프로젝트는 강재 개발부터 선박 건조까지 100% 국산 기술을 적용한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포스코 김상철 에너지조선마케팅실장은 “포스코가 세계 최초로 대형 LCO2 운반선을 개발해 친환경 시대를 열어갈 탄소중립 시장을 선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윤화 선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