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케미칼(대표 신동빈‧김교현‧이영준‧황진구)이 일본에 공급한 PCR(Post Consumer Recycled) 소재가 화장품 용기에 적용돼 주목된다.
롯데케미칼은 일본에 PCR 소재가 50% 적용된 PP(Polypropylene)를 공급했으며 8월 초 출시를 앞두고 있는 코세 코스메포트(Kose Cosmeport) 화장품 용기에 적용될 예정이다.
롯데케미칼은 2019년 하반기 PCR PP를 출시해 2020년 미국 FDA(미국 식품의약국) 인증을 취득했으며 2022년 상반기 판매량이 3년 전에
비해 40배 폭증한 것으로 파악된다.
롯데케미칼은 1년여에 걸친 품질 인증 및 샘플링 작업으로 엄격한 소재 기준을 적용하고 있는 일본 수요기업의 기준을 통과함에 따라 기존에 공급해온 중국, 유럽에 이어 일본으로 판매지역을 넓히게 됐다.
PCR PP는 플래스틱 리사이클 원료를 30% 및 50% 함유한 등급으로 개발하고 있다.
화장품 생산기업들은 2025년까지 화장품 포장재를 최대 100%까지 재활용하거나 플래스틱 리사이클 원료로 제조한 용기 비중을 50%로 확대하는 등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국내 화장품 시장은 용기의 약 60%가 플래스틱 소재로 제조되고 30% 정도는 PP 소재인 것으로 파악된다.
롯데케미칼은 기술 개발과 함께 다양한 재생 플래스틱 소재의 신속한 공급을 확대하고 있으며 플래스틱 선순환 체계 구축을 위한 프로젝트 루프(LOOP)를 전사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2030년까지 기존 물리적 재활용(Mechanical Recycle)을 통한 PCR 플래스틱 판매를 44만톤으로 확대하고 재활용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등 화학적 재활용(Chemical Recycle)을 통해 41만톤, 열분해 기술 상용화를 통한 PE(Polyethylene) 및 PP 15만톤을 상업화할 계획이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