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전고체전지 보급에 속도를 내고 있다.
맥셀(Maxell)은 2023년부터 전고체전지를 양산하기 위해 개발기간 단축에 기여하는 기기 및 평가키트를 완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기는 전고체전지와 태양전지(PV)를 조합해 지속적인 충전을 실현시킨 독립형 전원으로 수요기업이 전고체전지 도입 후 운영방법을 조기에 구상하도록 돕고 있으며, 평가키트는 전고체전지와 충전제어 IC 등 프린트 기판에 조합시켜 수요기업의 전고체전지 채용까지 의사결정을 가속화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맥셀의 전고체전지는 공장 자동화(FA)와 인프라 분야를 중심으로 수요기업들의 채용 검토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는 공장 생산라인과 로봇 백업용으로 1차전지를 사용하나 1-2년만에 교환해야 하기 때문에 폐기 문제가 크고 고온이거나 높거나 먼 곳에 설치된 배터리는 교환작업이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맥셀은 현재 1차전지가 투입되고 있는 영역을 2차전지인 전고체전지로 대체한다면 배터리 교환 수고를 줄일 수 있고 태양전지와 조합해 지속적인 충전을 실현한다면 충전 수고까지 줄여 유지보수성을 대폭 개선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맥셀의 전고체전지는 수명이 약 20년으로 길고 사실상 유지보수가 필요 없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근처의 에너지를 가져와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에너지 하베스팅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초기부터 실내광으로 발전하는 태양전지와 조합을 기대했으며 최근 전고체전지와 태양전지, 센서, 통신모듈 등으로 구성된 독립형 와이어리스 전원 기기로 완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태양전지로 발전해 전고체전지를 충전시킨 다음 센서로 수집한 정보를 통신모듈로 태블릿 기기 등에 송신하는 방식이며 산업기기와 공장 자동화, 건설기기에 적용한다면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인시던트 감지를 실현하고 스탠드 얼론 충전 시스템이기 때문에 용도 확장에도 용이할 것으로 기대된다.
평가키트는 맥셀의 전고체전지와 로옴(Rohm)의 충전제어 IC로 구성한 것으로 예전에는 전고체전지 샘플만 공급했기 때문에 수요기업이 따로 충전제어 IC를 준비해 전고체전지와 함께 프린트기판에 끼워넣어야 하는 수고가 있었으나 키트로 공급함으로써 맥셀이 수요기업의 기기에 직접 탑재할 수 있게 됐다.
이를 통해 시험제작 모델을 빠르게 완성하고 평가기간 단축, 의사결정 신속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맥셀과 동일하게 교토(Kyoto)에 사업장을 두고 있고 충전제어 IC의 소비전력이 작아 배터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는 점에서 로옴을 공동개발 파트너로 선택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여러 종류의 평가키트를 준비한 상태로 수요기업의 요청에 따라 공급할 예정이다.
맥셀은 평가키트를 포함해 다양한 솔루션 제안을 통해 2030년 목표로 설정한 판매액 300억엔에 다가설 계획이다. (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