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틸렌(Ethylene)은 소폭 하락했다.
아시아 에틸렌 시장은 국제유가가 배럴당 70달러 후반으로 상승했으나 나프타(Naphtha)가 떨어지고 수요도 부진해 하락했다.

에틸렌 시세는 3월31일 CFR NE Asia가 톤당 940달러로 10달러, CFR SE Asia는 960달러로 10달러 하락했다. FOB Korea도 910달러로 10달러 떨어졌다.
국제유가가 3월31일 브렌트유(Brent) 기준 배럴당 79.77달러로 상승했으나 나프타가 C&F Japan 톤당 655달러로 4달러 하락하고 수요가 부진해 하락했다. 바이어와 공급자 사이의 격차가 상당해 구매수요 부진으로 이어졌다.
일본 이데미츠코산(Idemitsu Kosan)은 치바(Chiba) 소재 에틸렌 41만3000톤, 프로필렌 18만톤 크래커를 3월22일 정기보수에 들어갔고, 사우디 Sadara Chemical은 2월 초 정기보수에 들어간 알주베일(Al Jubail) 소재 에틸렌 150만톤 크래커 재가동을 4월로 연기했다.
포모사석유화학(Formosa Petrochemical)은 2022년 7월14일 정기보수에 들어간 마일랴오(Mailiao) 소재 No.2 에틸렌 103만5000톤, 프로필렌(Propylene) 52만톤 크래커를 3월 말 재가동했고, 오만 OQ도 2월17일 정기보수에 들어간 소하르(Sohar) 소재 에틸렌 80만톤, 프로필렌 21만톤 크래커를 최근 재가동했다.
유럽 현물가격은 FD NWE 톤당 875로로 15유로 하락했고, 미국은 가동중단 속출에도 불구하고 FOB US Gulf 파운드당 22.25센트로 4.5센트 떨어졌다.
쉘케미칼(Shell Chemicals)이 3월16일 컴프레셔 이상으로 펜실베이니아의 포터타운십(Potter Township) 소재 에틸렌 150만톤 크래커 가동을 중단했고, Bayport Polymers도 3월22일 에탄(Ethane) 크래킹 이상으로 텍사스의 포트아더(Port Arthur) 소재 에틸렌 100만톤 크래커 가동을 중단했다. 쉐브론필립스(ChevronPhillips Chemical) 역시 3월15일 컴프레셔 고장으로 텍사스의 세다베이유(Cedar Bayou) 소재 에틸렌 85만톤 크래커 가동을 중단했다. <박한솔 책임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