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스프(BASF)가 중국 신장위구르 자치구에서 철수한다.
바스프는 2023년 4분기부터 신장위구르 자치구 코를라(Kurla) 소재 BASF Markor Chemical Manufacturing (Xinjiang)과 Markor Meiou Chemical (Xinjiang) 등 Xinjiang Markor Chemical과 합작 설립한 2곳의 지분을 매각하고 있다. 지분율은 양사 모두 49%이다.
BASF Markor Chemical Manufacturing은 PTMEG(Polytetramethylene Ether Glycol) 생산능력이 5만톤, Markor Meiou Chemical은 1,4-BDO(Butanediol) 생산능력이 10만톤이며, BDO 밸류체인의 탄소발자국 감축을 위한 조치라고 밝혔으나 독일 방송사 ZDF와 잡지 슈피겔이 바스프 합작기업 직원들이 2018-2019년 중국 정부 관료들과 함께 위구르인 가정을 방문하는 등 위구르인에 대한 국가 감시에 관여했다고 보도한 지 일주일만에 공개한 결정이어서 이유가 주목되고 있다.
특히, 2024년 2월9일 성명에서 “합작기업에 대해 내외부 감사 등 정기 실사에서 인권침해에 관한 어떠한 증거도 발견되지 않았다”고 강조했으나 “최근 합작기업에 관한 언론 보도에 바스프의 가치에 부합하지 않는 활동을 나타내는 주장이 포함돼 결과적으로 당국과의 협상, 승인을 조건으로 코를라 소재 합작기업 2사에 대한 지분을 매각하기 위해 진행하고 있는 절차에 속도를 낼 것”이라고 설명해 보도 영향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은 2018-2019년에 위구르족 등 소수민족에 대한 탄압을 집중적으로 강화한 바 있다.
중국 정부는 소수민족 관련 정책이 테러를 방지하고 빈곤을 줄이기 위한 조치일 뿐만 아니라 민족 화합을 촉진한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국제인권단체들은 중국 정부의 활동이 위구르인을 감시하고 세뇌하기 위한 계획의 일환이라고 비판했고 ZDF 및 슈피겔 보도 이후 중국의회간연합체(IPAC) 회원 정치인 30여명이 바스프에 서한을 보내 코를라에서 철수할 것을 촉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독일·영국·우크라이나·캐나다·뉴질랜드·벨기에 정치인들이 참여한 서한으로 “바스프가 문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억압적이고 차별적인 정책으로 극심한 고통을 받는 신장위구르 자치구 주민들의 안녕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것이 희망”이라고 전달한 것으로 파악된다.
중국 정부가 신장위구르 자치구에서 위구르인 등 소수민족을 탄압한다는 비판을 받으면서 바스프 뿐만 아니라 현지에서 사업을 영위하는 다른 서구기업들도 압박을 받고 있다.
국제인권단체 휴먼라이츠워치(HRW)는 중국에서 자동차를 생산하는 서구기업에게 위구르족 강제 노동으로 생산될 수 있는 자재가 공급망에 유입되지 않도록 적극 조치할 것을 촉구했고, 미국은 2023년 9월 위구르족에 대한 강제노동 등을 이유로 중국기업 3곳 생산제품의 수입을 금지했다. (강윤화 책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