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친환경 바이오 아디핀산(Adipic Acid) 생산기술을 발표했다.
한국화학연구원(KRICT) 백승호·노명현 박사 연구팀은 지방이나 기름 축적능력이 뛰어난 유질효모로 산업용 미생물로 활용되는 야로위아 리폴리티카(Yarrowia Lipolytica)를 활용한 바이오 아디핀산 생산용 미생물 세포공장을 개발했다.
아디핀산은 나일론(Nylon)의 필수 중간원료일 뿐만 아니라 생분해성 플래스틱 원료, 식품첨가제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는 핵심 화학소재이나 대부분 나프타(Naphtha),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로 생산하기 때문에 아산화질소(N2O)가 발생해 온실효과를 유발한다.
이에 연구팀은 미국 식품의약청(FDA) 인정 식품첨가 안전물질(GRAS)로 지정된 야로위아 리폴리티카를 미생물 세포공장으로 활용해 환경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바이오 아디핀산을 생산하는데 성공했다.
합성생물학 기술을 이용해 지방산 베이스 생산물 분해 능력을 인공적으로 조절하고 아디핀산 생산량을 늘릴 수 있도록 미생물 특성을 재설계했으며 여러 과정으로 완성된 세포공장은 미생물 배양을 거쳐 생산물을 선택적으로 분해·전환해 효율적이고 환경친화적으로 바이오 아디핀산을 생산한다.
화학연구원 관계자는 “석유화학 베이스 아디핀산을 대체하는 원천기술”이라며 “아디핀산이 주요 화학소재로 사용되는 의류, 생활, 산업용 응용제품 영역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구 결과는 바이오매스 관련 글로벌 학술지 바이오리소스 테크놀로지(Bioresource Technology) 1월호에 게재됐다. (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