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큐셀(대표 이구영)은 미국 세제 혜택을 둘러싸고 논란이 확대되고 있다.
블룸버그는 7월9일 한화솔루션 큐셀부문(한화큐셀)이 미국의 제재 대상인 중국기업과 관련된 의혹에도 불구하고 미국에서 거액의 세제 혜택을 받는다고 보도했다.
한화큐셀이 조지아 달튼(Dalton)과 카터스빌(Cartersville) 공장을 통해 북미지역에서 처음으로 핵심 태양광 밸류체인을 모두 제조해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라 2032년까지 매년 9억달러(약 1조2000억원) 이상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으나 적어도 2024년 말까지 중국산 기초 소재를 사용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아울러 한화큐셀에게 웨이퍼를 납품한 중국기업 2곳에 폴리실리콘(Polysilicon)을 공급한 곳이 강제노동과 관련해 미국 정부의 제재 명단에 올랐다는 내용의 중국 문서를 소개하며, 한화큐셀의 태양광 패널에서 강제노동과 관련된 폴리실리콘이 들어간 부품이 나왔다는 증거는 없으나 한화큐셀이 중국 납품기업을 얼마나 잘 감독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한화큐셀은 미국에서 판매하는 태양광 패널에는 제재를 받는 중국 신장(Xinjiang)에서 생산한 폴리실리콘은 들어있지 않다고 반박했다.
데브라 드숑 한화큐셀 커뮤니케이션 담당은 “(납품기업이) 다른 수요기업을 위해 사용하는 폴리실리콘을 어디서 조달하는지 물을 권한은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블룸버그는 한화큐셀이 폴리실리콘 소싱과 관련해서 세부 내용을 공개하지 않는 점은 일부기업이 연구진에게 관련 자료를 제공하는 것과는 대조된다고도 지적했다.
앞서 2023년에는 영국 셰필드 할람 대학교 연구진이 강제노동과 태양광산업에 관한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한화큐셀이 납품기업 정보를 충분히 공개하지 않는 점에서 강제노동과 관련한 폴리실리콘을 사용할 위험이 매우 높다는 결론을 내린 바 있다.
비영리 단체인 에너지 공정 무역 연합(EFTC)은 “한화큐셀 납품기업이 제재 대상에 있는데 관세국경보호청(CBP)에서 조사하지 않는 것은 이상하다”고 주장했다.
다만, 한화큐셀 데브라 드숑 담당은 “태양광 웨이퍼의 99%가 중국이나 중국계기업의 생산제품이기 때문에 중국과 연결 없이 운영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면서도 “한화큐셀은 현재의 흐름을 바꾸려고 노력하는 유일한 태양광기업”이라고 반박했다.
또 한화큐셀은 미국 위구르 강제노동 금지법(UFLPA)이 발효되기 전인 2021년 초부터 미국시장에 투입되는 태양광제품에는 관련 이슈가 있던 협력기업의 웨이퍼 사용을 중단했고 감사 결과를 바탕으로 글로벌 공급망에서 완전히 배제한 것으로 알려졌다. (강)